188 0

권재훈 작곡 「"The Dance of Time" for Violoncello and Live Electronics」의 분석 연구

Title
권재훈 작곡 「"The Dance of Time" for Violoncello and Live Electronics」의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Dance of Time" for Violoncello and Live Electronics」composed by Kwon, Jae Hun
Author
권재훈
Alternative Author(s)
Kwon, Jae Hun
Advisor(s)
임종우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본 논문은 권재훈 작곡「"The Dance of Time" for Violoncello and Live Electronics」에 대한 작품 분석이다. 이 작품은「카르페 디엠(Carpe Diem)」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으며 첼로의 독주와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전자 음향(Live electrinics), 그리고 사전에 제작된 소리 합성 음향을 포함하고 있다. 「"The Dance of Time" for Violoncello and Live Electronics」는 반복되는 도시의 일상 속에서 마음 속 여유를 찾아가는 현대인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작품 안에서 사전에 제작된 소리 합성 음향은 바쁜 도시의 모습을, 실시간 전자 음향은 반복되는 일상을, 첼로는 도시 속 현대인을 상징하고 있다. 작품 속 주제의 효과적 표현을 위해 실시간 전자 음향 부분에서는 Max/Msp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으로 딜레이(delay) 효과를 구현하고 있으며, 사전에 제작된 소리 합성 음향 부분에서는 녹음된 시계 소리와 도시 소음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첼로 부분에서는 조금씩 변형되며 순환 반복되는 프레이즈들을 통해 반복되는 도시 일상 속에 쳇바퀴 돌 듯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음악적 구성은 이야기 구성을 차용하여 프롤로그―A―B―C―D―E―F―에필로그(Prologue―A―B―C―D―E―F―Epilogue)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호 관계의 첼로와 전자 음향이 음악 속 이야기와 주제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해 나가는지 그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전체적인 개요와 구성의 분석을 통해 작품의 의도와 내용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첼로 악보를 중심으로 음계와 선율에 대한 분석이 이어진다. 프롤로그와 섹션 A, B, C, D, E, F에서는 두 개의 집시 음계(헝가리언 집시 음계와 스패니시 집시 음계)를 혼합하여 만든 새로운 음계를 다시 일곱 개로 이조시켜 사용하며, 에필로그에서는 C 리디아 선법을 사용한다. 이어서 전자 음향 부분을 실시간 전자 음향 부분과 사전에 제작된 소리 합성 음향 부분으로 나누어 그 구현 과정과 제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첼로 부분과 전자 음향 부분을 총괄하여 작품 전체의 부분별 분석이 이어질 것이다. 「"The Dance of Time" for Violoncello and Live Electronics」속에서 현대인의 반복되는 일상과 그 치열한 일상의 끝에서 발견되는 여유와의 만남은 이성적이고 체계적인 현대음악과 작품 속 감성과의 만남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규칙적인 시계 초침 소리는 작품 후반에 등장하는 자연적 소리와 대비되어 만나며 전자 음향과 어쿠스틱 악기와의 만남으로까지 이어진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9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1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