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0

초등학교 기본교과 내 연극교육의 방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기본교과 내 연극교육의 방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n the methods of the theater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plan with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first semester in the 4th grader
Author
이혜경
Alternative Author(s)
Lee, Hye Gyeong
Advisor(s)
김미혜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기본교과 내 연극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그 흐름과 방향을 보다 명확히 하고 기본교과 내 연극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구체화 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실 내에서 교과연계 연극수업의 필요성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기본교과 내 연극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기본교과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연극교육이 양적 성장은 이루었지만 질적 문제가 있음을 본 연구는 간파하였다. 그 중 교과와 연계한 연극교육의 방법 부재가 시급하여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를 연극 활동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단서가 제시된 유형과 대사가 제시된 유형으로 나눠서 국어교과와 연계한 연극교육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4학년 대상으로 국어교과연계 연극교육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워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Ⅰ. 국어교과연계 연극교육이 학생들의 학습능력이 나 이해능력을 향상 시켜줄 것이다. 가설 Ⅱ. 연극교육이 교과에 통합됨에 따라 실제경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평면적인 지식이 아닌 입체적인 지식을 전달할 것이다. 가설 Ⅲ. 기본교과 내 연극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지속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동대문구에 소재한 J 초등학교 4학년 6개 학급 18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국어교과연계 연극 활동 수업을 8차시에 걸쳐 실시하였고, 마지막 9차시에는 기본교과 내 연극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도출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연극수업에 대한 흥미가 높았고, 연극교육을 통해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였으며,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었다. 둘째, 교실에서 소극적이었던 학생들이 신체표현 활동을 통해 더욱 활동적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국어교과연계 연극 활동 후 국어과목에 대한 흥미가 예전보다 높아졌다. 넷째, 국어교과연계 연극수업은 상상하고, 사고하고, 표현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이해를 빠르고 쉽게 하였다. 또한 이론중심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으로 학습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가 있었고, 국어 교과서에 나타나 있는 이야기들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었다. 다섯째, 국어교과연계 연극수업을 통해 혼자서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닌 모두가 한마음으로 수업이 진행되어 의미가 있었다. 여섯째, 국어교과연계 연극수업은 국어수업 시간에 다루지 못한 부분을 학생들이 경험하고 학습할 수 있게 하였고, 자기표현능력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교실에서 교과서로 공부할 때 부진했던 학생들이 자신감을 찾고 자신을 표현할 기회가 되었다. 일곱째, 실제 국어수업에서 모든 학생들이 매번 표현활동을 충분히 참여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지만 국어교과연계 연극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여덟째, 학생들은 실제 국어수업 시간에 역할놀이를 더욱 적극적으로 하게 되었다. 아홉째, 기본교과 내 연극교육이 연극놀이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보다 교과와 연계해서 진행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더 의미 있고 가치 있음을 본 연구는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기본교과 내 연극교육은 기본교과의 각 단원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해당 교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극교육을 통한 실제 경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평면적인 지식이 아닌 입체적인 지식을 전달하였다. 또한 개인적인 활동이 아닌 학급 전체가 함께 연극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인간관계와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인성발달은 물론 타인의 감정에 대해 공감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전인격적인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기본교과 내에서 연극교육이 교과와 연계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과 기본교과 내에서 진행되는 연극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9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8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