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배우의 체화된 마음과 공감의 연기 방법론적 고찰 | 조계영 |
2024 | 중화민국시대 경극시장 발전에 관한 연구 - 1912∼1940년의 북경 경극을 중심으로 - | 위주혜 |
2024 | 연극성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연구 | 마은우 |
2023 | 저예산 SF 영화의 시각적 스펙터클 및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연구 | 장수남 |
2023 | 역사적 사건을 재현한 영화에 나타난 인물의 시대별 변화 양상 연구 | 엄정민 |
2023 | 디바이징 씨어터의 공간과 관객의 수행성에 대한 연구 | 신동동 |
2023 | 자오쥐인(焦菊隱) 연기론의 이해와 운용에 관한 연구 | 동형이 |
2023 | The Invisible Korean Queer Films of Park Chung-hee's Era: | 제퍼슨 |
2023 | 2020년대 한국 SF 영화와 포스트휴먼 비평 | 고유나 |
2022 | 한국 청춘영화와 중국 청춘영화의 비교연구 | 유혜지 |
2022 | 사실주의 영화 속 여성 캐릭터 연구 | 팡한 |
2022 | 중국 민국시대 여성주의 연극의 작품관 연구 | 하유린 |
2022 | 융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 기초한 단편영화 <페르소나> 분석 | 마가림 |
2022 | 배우의 연기 방법론과 기억의 연관성 연구 | 김세정 |
2022 | 마이클 메이어의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2006)에 나타난 연출기법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삼일 |
2022 | 동물을 소재로 한 영화의 이미지·캐릭터 디자인 특징 연구 | 염정 |
2021 | 가족영화의 서브 장르: 조손가족 영화의 장르적·미학적 특징 연구 -단편영화 〈리틀 스튜어디스〉를 중심으로- | 손민규 |
2020-08 | 포스트드라마에서 극 공간과 관객의 상호작용 연구 | 전새미 |
2020-08 | 저예산 독립 SF영화의 제작과 형식미학에 관한 연구 | 민현기 |
2020-08 | 영화 속 마술적 사실주의 표현에 대한 실천적 연구 -단편영화 〈파소 도블레〉를 중심으로- | 원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