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0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 및 한국 패션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Title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 및 한국 패션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Korean Wave on the National Image and Korean Fashion Brand Equity Within China
Author
장걸
Alternative Author(s)
Zhang Jie
Advisor(s)
박재옥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중국은 많은 인구수와 급속히 발전하는 경제로 인하여 세계에서 중요한 시장이 되었다. 많은 한국패션 기업들은 중국시장의 매력 및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한국 패션기업들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나라의 패션기업들도 중국의류시장에 진출에 있어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에 독자적인 문화 한류는 아시아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전 세계에서 유행하고 있다. 이 한류의 전파는 한국 국가이미지, 한국 기업이미지, 한국 제품이미지, 한국 브랜드자산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중국에서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 및 한국 패션브랜드 자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소비자들의 한류에 대한 태도가 한국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중국소비자들의 한류에 대한 태도가 한국 패션브랜드 자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소비자들이 본 한국 국가이미지가 한국 패션브랜드 자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상해, 북경, 광주 3개 대도시, 중경, 남경, 무한, 성두, 항주 5개 중대도시, 그리고 닝보, 소흥 등 여러 중소도시에서 거주하는 20대부터 40대까지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 수집방법은 지역과 연령을 중심으로 할당 표본 추출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총 64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류(한국영화, 한국드라마, 한국가요, 한국연예인)에 대한 태도가 한국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소비자들이 한류에 대한 태도가 좋을수록 한국 국가이미지에 대해 더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한류에 대한 태도가 한국 패션브랜드 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소비자들은 한류에 대한 태도가 좋을수록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이미지가 더 좋은 것으로, 지각된 품질이 더 좋은 것으로,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구매의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의 각 요인을 살펴보면, 한국영화는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지각된 품질, 선호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드라마는 한국 패션브랜드 지각된 품질 및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도, 이미지, 선호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가요는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지각된 품질, 선호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은 한국연예인이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지각된 품질, 선호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한국 국가미지지가 한국 패션브랜드 자산(인지도, 이미지, 지각된 품질, 선호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한국 국가이미지가 좋을수록 한국패션브랜드 인지도가 더 높다고 생각하며, 이미지가 더 좋다고 생각하며, 품질이 더 좋고 생각하며, 한국패션브랜드를 더 좋아하며, 더 구매하고 싶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 국가이미지, 한국 패션브랜드 자산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월평균소득이 5000위안 이상이며, 30대 이상의 중국 중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소비자들은 한류에 대한 태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30대 이상, 월평균 소득이 5000위안 이상인 중국 남녀 소비자들은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가 더 높았다. 셋째, 5000위안 이상인 소비자 집단은 그렇지 않은 소비자 집단보다 한국 패션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이미지, 지각된 품질, 선호도가 높다. 넷째, 중국 중도시에 거주하는 중국소비자들은 다른 도시에 거주하는 소비자들보다 한국 패션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 소도시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은 대도시에 거주하는 소비자들보다 한국 패션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가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는 중국의류시장에 진출한 한국 패션기업들과 중국의류시장에 진출하려고 하는 한국 패션기업들에게 한류를 이용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06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02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