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6 0

한국사회 '힐링(Healing)' 담론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사회 '힐링(Healing)' 담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ealing' Discourse in Korean Society : Focusing on the Ambivalence of the Self-Improvement Discourse
Author
장민우
Alternative Author(s)
Chang, Min Woo
Advisor(s)
한동섭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사회 힐링 담론의 정체성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에 있다. 특히 과거 자기계발 담론과 연계하여 양가적 속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신자유주의 사상의 유입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고착화된 시장논리에 의해 노동의 유연화가 일어났다. 즉 개인의 선택권과 책임이 늘어났음을 의미한다. 무한경쟁과 자기계발이 당연시된 현대 한국사회에서 현대인의 피로와 스트레스는 날이 갈수록 가중된다. 사회에서 요구하는 결과물을 내어 놓기 위해 목표지향적인 경쟁적 삶을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상에 지친 현대인은 정신적 안식처를 갈구하기에 이른다. 여기서 우리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현대 한국사회에 유포되고 있는 힐링 담론이 스트레스와 피로에 지친 현대인들의 치유를 위한 목적으로 생성된 것인지, 아니면 기존 자기계발 담론의 연장선 상에 있으며 신자유주의에 의한 노동력 착취 요구의 또 다른 형태로써 생성된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힐링 서적 리뷰 블로그 게시물 및 힐링 관련 기사(칼럼/ 논단)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CDA)과 힐링 TV 프로그램 시청자 인터뷰 및 심층인터뷰를 활용하여 힐링 담론에 대한 한국사회 구성원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사회구조와 힐링 담론, 자기계발 담론과 힐링 담론의 연관성에 대한 파악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힐링 서적을 통해 유포되는 힐링 담론은 추상적이고 감흥이 없으며, 구체적인 해결책 제시가 미흡하며, 독자가 처한 자본과 노동착취의 현실을 재인식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결국 기존 자기계발의 연장으로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힐링 관련 칼럼을 통해 전문언론인이 인식한 한국사회 힐링 담론은 고유명사화되어 확산되고 있다. 또한 2012년 대선의 영향을 받아 정치화 경향이 두드러졌다. 뿐만 아니라 상업화로 인한 변질도 눈에 띄었다. 무엇보다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전이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점도 발견되었다. 또한 심층인터뷰 결과, 대중들은 힐링 담론을 통해 현대 한국사회의 암담하고 각박한 현실을 재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나치게 상업화되어 활용되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사회구성원으로서 개인은 사회구조적인 문제의 근원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힐링 담론이 이러한 문제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 전이시킨다고 판단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뒤로 미루게 만들기도 하며 개인의 변화를 강조하여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정당화하고 이를 개인의 문제와 책임으로 몰고가는 역할을 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결국 힐링 담론은 치유 본연의 목적보다는 자기계발을 위한 회복의 수단으로써 인식되어 꾸준한 자기변화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업화되어 변질된 힐링 담론은 소비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된다. 치유를 위해서는 노동의 댓가인 자본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힐링을 접하기 위해 꾸준한 노동연장의 요구에 내몰리게 되며 이에 따른 노동착취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현대 한국사회 힐링 담론은 신자유주의로 비롯된 무한경쟁과 자기계발 압박으로부터의 치유를 향한 욕구에 의해 생겨난 듯 하지만,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전이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여 결국 자기변화를 촉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신생담론이라 할 수 있는 힐링이란 사회 현상에 대해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양상보다는 저변에 깔린 구조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춰 담론분석과 심층인터뷰를 활용하여 보다 심층적이고 밀도있는 분석을 통해 현대 한국사회 힐링 담론의 자기계발론적 양가성에 대한 파악을 시도하였음에 의미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5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00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