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 0

'공주의 가출'형 서사의 형성 배경과 의미

Title
'공주의 가출'형 서사의 형성 배경과 의미
Other Titles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Princesses' leaving home in old tales
Author
서미화
Advisor(s)
이승수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구비에 전승되고 있는 ‘내 복에 산다’계 설화가 문헌으로 수록되면서 변모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나아가 같은 서사구조를 공유하지만 변주되어 전해 오는『삼국사기』 <온달>, 『삼국유사』 <무왕>, 『금계필담』 <광묘유일공주>를 ‘공주의 가출’로 묶어 차이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 복에 산다’계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 3분법에 의거하여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신화계열인 <삼공본풀이>와 민담계열인 ‘내 복에 산다’계 중 초혼형이 구비에 전승된다. 본고에서 살피는 ‘공주의 가출’은 전설에 포함되며 문헌에 수록되어 있다. 구비에 전승되는 <삼공본풀이>와 ‘내 복에 산다’계 중 초혼형의 대략적인 내용은 이러하다. 아버지는 딸들에게 누구의 덕으로 혹은 누구의 복으로 잘 사느냐고 질문한다. 셋째 딸만이 유일하게 정면으로 자신의 복으로 산다고 대답함으로써 갈등이 촉발된다. 이에 집을 나가 새로운 남자(숯구이총각 혹은 마퉁이)를 만나 결혼하고 결국 자신이 타고난 ‘복’대로 부자가 된다. 그 후 친정은 몰락하고 셋째 딸은 다시 아버지에게 돌아가 화해를 청한다. 이러한 구비설화의 공통 서사구조는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온달>, <무왕>, <광묘유일공주>를 묶어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요컨대 구비에 전승된 것과 마찬가지로 문헌에서도 아버지와 딸 사이의 절연과 그 이후의 삶의 모습을 그려낸다. 핵심화소는 변질되지 않고 살아있다. 다만 아버지와 딸의 관계는 왕과 공주의 관계로 특수화 되고 등장인물은 전설의 주인공 혹은 역사적 실제 인물로 변한다. 구비에서 중요한 갈등요소였던 ‘복’관념은 사라지고 빈자리는 정치적 이유나 역사적 사실로 채워진다. 각각의 변이양상을 살펴보자면 <온달>전은 구비에 전승되는 여성 주인공의 주체성과 열전의 주제의식인 유교이데올로기가 공존한다. 평강공주는 이 두 가지 역할을 서사 속에서 조화롭게 수행하며 초인적인 현자의 모습을 드러낸다. <무왕>조는 서동의 왕위등극과정에 ‘내 복에 산다’서사가 내재되면서 선화공주의 역할은 상당히 축소되며 능동성이 약화된다. 그녀는 대리적 행위자로 변모해 서동의 영웅화를 돕는다. <광묘유일공주>의 세조공주는 계유정난을 바라보는 당대의 유학자나 민중의 비판적 시선을 반영하기 위해 능동적인 성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끝내 아버지와 화해하지 않은 그녀는 세조에 대한 서유영의 시선을 대변해준다. 더불어 앞선 두 이야기에 비해 핍진성과 구체적인 현실성이 드러나며 친소설화 경향도 곳곳에 보인다. 이를 통해 이야기가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다소 독특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서양에 비해 현저하게 양적으로 부족한 우리의 공주 이야기 중에서 세 이야기가 상징하는 바는 크다. 이들은 민중과 사대부들의 관점이 교차하는 접점에 존재한다. 여기에서 공주는 ‘민중들의 공주’이자 역사 속의 실제 공주로 혼효되고 전승되어 살아남았다. 이들의 이야기에는 여러 장르의 변화와 이행, 편찬자의 이데올로기, 시대적 배경 등이 함께 작용하고 있다. 결국 이들 이야기는 역사의 한 사실로서 존재하기도 하고 사람들의 소망을 담은 염원의 한 축으로 존재하기도 하면서 복합적인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5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5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