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 0

장말도당굿 장단연구

Title
장말도당굿 장단연구
Author
유경화
Advisor(s)
양연섭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말도당굿의 기본장단을 살핀 뒤에 장단 간의 시종(始終) 및 연결방법, 그리고 장단의 변화양상에 집중하여 그 운용원리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이에 [한국의 굿 No.2 경기도당굿] CD음원을 대상으로 하여 장단을 채보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장말도당굿에 쓰인 장단은 모두 23종이며, 이 중 겹마치기, 도살푸리모리, 발뻐드래, 청배, 도살푸리, 부정, 올림채, 올림채모리, 가래조 등 9개 장단은 경기도당굿에서만 사용된다. 그리고 대풍류, 취타, 산조 등 타 장르에서도 사용되는 장단은 총 14개로, 굿장단이 타 장르의 장단들과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왔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장단의 시종 및 연결방법 중 장단을 시작하는 세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① 무가 뒤에 장단이 나오는 경우로, 첫 장단의 각에서 나오거나 두 번째 장단부터 시작한다. ② 장단 뒤에 무가가 나오는 경우로, 반 장단, 한 장단, 두 장단을 듣고 나온다. ③ 장단과 무가가 동시에 나오는 경우로, 장구가 신호를 주고 시작하거나 신호 없이 동시에 시작하기도 한다. 그리고 장단을 맺는 세 가지 유형은 ① 털어 맺는 방법, ② 박을 늘려 맺는 방법, ③ 잡아 맺는 방법이 있다. 장단을 연결하는 세 가지 유형은 ① 연결 시 맺는 장단의 리듬구조를 변화해서 장단을 맺고 넘기거나, ② 끌채로 넘길 때는 이어지는 장단의 속도, 리듬구조 등을 맺는 장단에서 미리 제시해주어 보다 자연스럽게 넘겼고, ③ 속도를 몰아 넘길 때는 장단기법, 리듬구조 등의 변화 없이 점진적으로 속도를 몰아 넘긴다. 세 번째, 장말도당굿의 장단변화양상은 세 가지로 나타난다. ① 리듬구조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4/♩.장단과 6/♩장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2·2·2·3·3변형과 3·3·2·2·2변형, 그리고 4/♩.장단에서만 나타나는 2·2·2·2·2·2변형, 4/♩장단에서만 나타나는 3·3·2변형, 6/♩장단에서만 나타나는 3·3·3·3변형과 2·2·3·2·3변형 등이 있다. ② 리듬패턴을 변형하는 방법은 한 장단을 a+b로 나누어 앞부분만 변화시키는 환두변형과 뒷부분만 변화시키는 환미변형이 있다. 그리고 한 장단 안에서, 또는 두 장단 간에 짝을 이루어 강약이나 열채·궁채의 댓구를 이루는 음양변형 등이 있다. 또한 다른 장단의 리듬패턴을 혼합하여 변화하는 호환변형이 있다. ③ 장구기법을 변형하는 방법은 궁채를 중심으로 변화를 주는 궁채변형과 열채를 중심으로 변화를 주는 열채변형, 합채를 중심으로 변화를 주는 합채변형 등이 있다. 한국전통음악에서 다양하게 음악을 끌어가는 방법으로 중요하게 기능하는 것이 바로 장단이다. 장말도당굿 장단의 예술성을 드러내는 이러한 운용원리들은 굿음악 이외에도 창작음악이나 무대음악에서 확대 적용되어 전통음악 장르의 확장 및 다양한 음악어법의 변화발전에 응용될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74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30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