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음악적 모티브를 중심으로 한 로베르트 슈만의 《여인의 사랑과 생애, Op. 42》와 클라라 슈만의 《6개의 가곡들, Op. 13》의 비교연구 | 탕우 |
2024 | 19세기 말과 20세기 프랑스 예술가곡에 나타난 중동과 스페인 음악의 영향에 대한 연구 | 진위 |
2024 | 전통민요 아리랑에 기초한 한국예술가곡 분석연구 | 이지현 |
2024 | 춤연극 《메이 비》의 분석을 통한 음악과 춤의 관계 유형 및 범주화 | 이소연 |
2024 | 폴 베를렌느의 시에 기초한 클로드 드뷔시의 모음곡 ≪우아한 축제 I≫, ≪우아한 축제 II≫ 분석 연구 | 왕락 |
2024 | 로코 팔리아라의 서정시에 기초한 주세페 마르투치의 연가곡 ≪추억의 노래≫ 분석연구 | 오현미 |
2024 | 최근 사회문화적 경향에 따른 한국 가곡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 및 고찰 | 김예은 |
2024 | 토스티의 연가곡 ≪마린코니아≫(1887)와 연가곡 ≪ 저녁≫(1916) 비교 연구 | 공태우 |
2023 | 앙리 뒤티외 《첼로 협주곡》 “아득히 먼 세계 전부가...” 분석 연구 | 원민지 |
2023 | 로저 퀼터의 가곡집 ≪다섯 개의 셰익스피어 노래, Op. 23≫ 분석 연구 | 형야방 |
2023 | 20세기 바이올린 협주곡 중 아놀드 쇤베르크의 <<바이올린 협주곡 Op.36>>과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드의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35>> 분석연구 | 이수아 |
2023 | 앙드레 졸리베 (André Jolivet)의 플루트 작품에 나타나는 종교적 표현의 변화 | 윤지나 |
2022 | 단눈치오 시에 기초한 파올로 토스티의 연가곡 ≪아마란타의 네 개의 노래≫ (Quartto Canzoni d’Amaranta, 1907)와 연가곡 ≪저녁≫(La Sera, 1919) 분석연구 | 임미란 |
2022 | 스크리아빈의 《법열의 시》에 나타나는 양식과 의미 | 백은실 |
2022 | 오르페오 신화를 바탕으로 한 오페라 비교 분석 | 양사청 |
2022 | R. Strauss 예술가곡의 발전 경향 및 시기별 특징에 관한 비교연구 | 반관운 |
2022 | 푸치니 오페라 속 테너 역할의 분석 연구: 《마농 레스코》, 《라보엠》, 《토스카》, 《나비부인》, 《투란도트》를 중심으로 | 이사형 |
2022 | 로코 에마누엘레 팔리아라의 시에 기초한 프란체스코 파올로 토스티의 가곡 연구 | 증회여 |
2022 | 폴 베를렌 시에 의한 포레와 드뷔시의 예술가곡 비교 연구 -작품 《달빛》, 《만돌린》, 《소리 없이》를 중심으로- | 뇌문림 |
2022 | 한국의 서양 음악 비평의 양상 연구 | 서주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