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7 0

경기도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 비교 연구

Title
경기도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ison of Gyoungi-do Dodang-gut and Donghaean Beolshin-gut
Author
정준호
Alternative Author(s)
Jeong, Jun Ho
Advisor(s)
안성우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요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의 절차와 과정, 그리고 장단의 구조와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경기도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절차와 과정을 비교하여 기본적인 차이를 먼저 알아 본 다음 각 장단의 종류와 특징을 비교분석 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도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의 전체적인 구성을 비교해 본 결과 연행시간과 연행 인원, 그리고 굿 거리의 수는 별신굿이 더 길거나 많았으며 남무의 무극, 무가참여 비중은 도당굿의 남무가 별신굿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굿 과정에서 유사한 성격의 거리와 절차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의 장단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당굿에서 사용된 장단의 명칭은 총 25종류의 장단이고 별신굿에서는 총 33종류의 장단 명칭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별신굿에서 같은 장단이 여러 가지 명칭으로 사용되는 특징을 고려할 경우, 실제 사용된 장단은 10종류로 도당굿의 장단이 별신굿 보다 훨씬 다양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도당굿 무가장단의 종류는 삼공잽이, 푸살, 중모리, 오니섭채, 가래조, 봉등채로 총 6종류 장단이 쓰인 반면, 별신굿의 무가 장단은 청보, 제마수, 자삼, 지옥가. 삼공잽이, 시설, 재배, 우도반경, 사자풀이, 고삼1번, 고삼2번, 어청보로 총 12 종류의 장단이 쓰였다. 따라서 무가장단은 도당굿보다 별신굿에서 다 많은 장단이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도당굿의 무무장단은 터벌림, 봉등채, 올림채, 진쇠, 부정놀이, 도살풀이, 발뻐드레, 천둥채, 겹마치기, 경기굿거리, 자진굿거리로 11종류의 장단이 쓰였으며, 별신굿의 무무장단은 푸너리, 거무, 삼오장으로 총 3종류 장단이 사용되었다. 또한 도당굿의 행악장단으로 길군악 장단 한 종류가 쓰였고, 별신굿의 행악장단은 굿거리장단 한 종류로, 서로 다른 장단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경기도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에 쓰인 굿장단들의 유사성을 비교하였는데, 유사장단의 경우 푸살과 고삼, 중모리와 제마수·재배, 경기굿거리와 굿거리, 자진굿거리와 덩더궁이가 각각 유사한 박자구조와 리듬유형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당굿과 별신굿의 장단 중에서 서로 유사성이 전혀 없는 독특한 장단을 살펴보았는데 별신굿의 (3+3+2)/8 형 장단과 15/8박의 청보2장, 도당굿의 삼공잽이, 취타, 가래조, 길군악, 부정놀이, 오니섭채, 긴염불, 도드리가 독립적으로 사용된 장단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당굿과 별신굿의 굿 장단들을 규칙형과 불규칙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해 본 결과, 두 굿의 규칙형 장단과 불규칙형 장단은 유사한 비율로 대등하게 쓰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금까지 경기도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의 각각 거리절차와 장단을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 과정에서 경기도 도당굿은 동해안 별신굿에 비해 전승 상태가 온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향후에 동해안 별신굿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는 예측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경기도 도당굿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해안 별신굿도 오랫동안 내려오던 세습이 현재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굿의 수요가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굿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과 체계적인 연구가 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9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9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