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6 0

남도 잡가 <화초사거리> 분석 연구

Title
남도 잡가 <화초사거리>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South Jeolla Province Jjapga
Author
권송희
Alternative Author(s)
KWON SONG HEE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본고는 화초사거리를 대상으로 역사적 배경과 전승과정, 사설, 그리고 음악적 특징에 대해서 면밀히 고찰하여 화초사거리의 전모와 사당패 소리의 특징적인 연관성을 파악해 보았다. 사설은 ‘이화중선·이중선’의 화초사거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선율과 장단은 ‘김소희·한농선·남해성’의 화초사거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초사거리의 복잡한 역사적 배경과 전승과정을 시대 순으로 사당패 활동, 신방초의 편곡, 잡가광대의 활동, 여류기생의 잡가 활동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화초사거리는 19세기 후반 신방초에 의해 사당패소리의 특징과 남도소리의 특징을 혼합하여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화초사거리의 사설은 사당패소리와 연관된 부분과 화초와 연관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사당패소리와 관련된 사설부분은 사당패소리 사설에 대표 격인 신재효 창본 사당패소리 <산천초목>부분과 많은 사설이 일치하였고 현행 경·서도 <놀량>의 근간이 되는 1910년도에 발행된 잡가집의 <판염불>, <놀량>에서도 비슷한 사설들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사당패소리 <산타령>의 근원이 되는 임실<경기 산타령>에서도 상통하는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사당패 소리와 관련된 화초사거리 사설은 사당패소리 사설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분명하다. 화초와 관련된 부분은 사당패소리의 사설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전적으로 신방초가 개작한 것으로 보였고 기존 사거리와 다르게 구별하기 위해 화초사거리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화초사거리의 선율은 복잡한 선율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산타령토리, 산타령토리<변청>, 잡가형 남도계면조 총 3가지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 가지 토리를 넘나들며 변청과 변조를 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화초사거리는 사당패 소리의 특징으로 추정되는 입타령과 3도 선율진행이 두드러지면서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인 <변청>을 하는 독특한 음악적 특징으로 되어있다. 화초사거리의 악곡구조는 토리를 중심으로 악절 A-B-C-B1-C1로 이루어지고, 각각을 구성하는 악구 a, b, c, d, e, f의 다양한 선율형이 등장한다. 넷째, 화초사거리의 장단과 리듬은 규칙속에 불규칙적인 구성으로 되어있는데 기존 판소리나 남도민요의 규칙적인 장단과는 차별을 둔다. 중모리 장단형태에서는 규칙속에 과박, 소박, 변박이 들어 있어 사당패소리 특징의 요소를 찾을 수 있었고, 3소박 형태에서는 4/♩., 6/♩., 3/♩. 리듬들이 사설에 맺는 선율에 따라 불규칙적인 장단변화와 함께 적재적소에 사용되어 소리의 생동감을 살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화초사거리는 사당패소리의 특징과 남도소리의 특징을 세련되게 혼합한 곡으로 사당패소리의 특징이 다양하게 남아 있는 독특한 남도 잡가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가 남도잡가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고 판소리를 배우는 후학들에게 화초사거리의 깊은 음악적 이해와 해석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8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2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