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 0

대학 내 실천학습에서 지식창조 프로세스를 위한 학습 환경 설계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 내 실천학습에서 지식창조 프로세스를 위한 학습 환경 설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Designing Learning Environment for Knowledge Creation Process on Action Learning in the University
Author
이정훈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hun
Advisor(s)
유영만
Issue Date
2016-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실천학습은 조직에서 중요하고 긴급한 실제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찾고, 그 과정에서 개인, 팀, 조직이 학습해나가는 방법으로서 등장하였다. 실천학습의 기본은 문제(Critical Business Issue)를 중심으로 실제 인물이 실제 상황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실천하고 성찰하며 학습해나가게 된다. Nonaka의 지식창조이론에서는 이 문제(CBI)를 이해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액션플랜을 구체적으로 실행해나가는 과정에서 네 가지의 다른 학습 공간(사회화→외재화→종합화→내재화)이 펼쳐진다고 설명한다. 대학교육에서도 대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향상을 위한 실천학습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실천학습이론을 새롭게 바라보고자 하는 시도보다는 기존의 실천 학습의 틀을 부분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이나 사례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실천학습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창조과정에서 어떤 학습프로세스를 거쳐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연구를 찾아보기는 힘들다. 본 연구는 실천학습과 지식창조이론의 공통 기반이 되는 구성주의 이론이 처방이론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고, 실천학습과 지식창조이론의 학습원리를 비교분석한 후, 실천학습에서 구성원들의 문제에 대한 내재적 학습을 중심으로 지식창조를 이끌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설계 원리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실천학습에서 학습이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개인의 변화와 팀의 변화 두 가지 측면에서 근거 이론을 기반으로 한 질적 사례 연구방법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학습의 기본 단위는 개인에 있기 때문에 팀 구성원인 개인이 실천학습의 지식창조프로세스를 거치면서 문제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밝혀내었다. 연구로 나타난 문제에 대한 개인의 의미변화에 따른 개념을 팀, 사회 그리고 개인의 측면에서 범주화하였고 각각의 측면에서 다르게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정리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실천학습이라는 팀 학습에서 구성원들이 사회화, 외재화, 공유화, 내재화 각 단계에서 어떤 상호 작용을 하며 어떻게 지식을 창조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로 나타난 개념을 각 단계에 따라 범주화하였고 각 내용을 정리하면 사회화에서는 ‘적극적 수동성’, 외재화에서는 ‘차이 속에 공동의 의미 발견’, 종합화에서는 ‘분석과 종합’, 내재화에서는 ‘실용과 공헌’의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것을 정리 할 수 있었다. 더불어, 질적 연구를 통해 대학 내 실천학습에서는 지식을 관리하는 Knowledge Management, 학습프로세스를 관리하는 Process Management, 구성원들의 동기를 부여하는 Emotional Management로의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이 더 중요시 된다는 것과 공유의 장이 지원될 때 더 나은 학습 환경이 설계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선 논의와 연구결과인 팀 구성원 개인의 문제의 의미 변화, 지식창조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그리고 질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공유의 장의 지원을 기반으로 대학 내 실천학습에서 지식 창조 프로세스를 위한 학습 환경 설계 조건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구성중의의 공통 토대를 기반으로 실천학습의 프로세스에서 지식창조모델을 통합하여 대학교육에서의 문제해결능력향상을 위한 새로운 처방 논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질적 연구를 통해 지식창조 각 단계별 어떤 환경적 지원이 필요한 지에 대한 구체적 사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실제적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7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7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