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 0

남창 우조가곡의 노래선율과 해금반주선율 비교 연구

Title
남창 우조가곡의 노래선율과 해금반주선율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melody of the Nam-Chang woo-jo Ga-kok and the melody with the Haegeum accompaniment.
Author
서은영
Alternative Author(s)
Suh, Eun Young
Advisor(s)
김성아
Issue Date
2016-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1930년대 제작하여 국립국악원이 소장하고 있는 이왕직아악부 악보 중『아악부해금보』의 남창가곡 우조 8곡과 언락을 포함한 9곡을 대상으로 김기수 저의『국악전집』과 강사준 저의『정악해금보』에 수록된 남창가곡 해금반주보에 나타난 시김새와 리듬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변화가 나타난 해금반주선율과 동일한 박을 노래보인 『하규일』과『국전노』와 비교 ․분석하여 남창가곡 우조의 해금반주와 노래선율간의 상호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창가곡 해금보에 수록된 곡목을 살펴보면『아해』에서는 우조 8곡, 계면조 16곡의 24곡이,『국전』과 『정해』에서는 우조와 계면조가 동일하게 우조 12곡과 계면조 14곡의 총 26곡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남창가곡 노래보인『하규일』은 우조 8곡과 계면 21곡의 총 29곡과 『국전노』에는 해금보의 『국전』과 동일한 우조 12곡과 계면조 14곡의 총 26곡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남창가곡 우조 해금보에 나타나는 부호표는 총 30종이며 악보별로 살펴보면 『아해』7종, 『국전』22종,『정해』25종이다. 남창가곡 노래보는 해금반주보에서 나타난 부호를 제외하고 살펴본 결과 총 6종으로 『하규일』2종, 『국전노』는 4종으로 나타난다. 이들의 변화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비슷한 시기의 악보인『아해』와『하규일』은 부호를 사용하기보다 실음으로 많이 표기되어 있고 『국전』과 『국전노』에서는 앞의 시기보다 많은 부호표기가 나타나며 현행의 악보인『정해』에서는 더욱 다양한 부호로 표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시대가 변화하면서 악보의 표기에 있어 실음보다는 부호를 활용하여 선율을 악보에 기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창가곡 우조 9곡을 대상으로 해금반주선율에서 나타나는 시김새와 리듬의 변화를 『아해』,『국전』,『정해』의 악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이에 해당하는 선율을 남창가곡 우조 노래보인『하규일』과『국전노』의 노래선율과 비교하여 상호관계를 알아본 결과 선율의 형태가 상호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들은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즉, 첫째 해금반주선율과 노래선율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유형, 둘째 해금반주선율과 노래선율의 골격음이 동일한 유형, 셋째 해금반주선율과 노래선율이 부분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 넷째 해금반주선율과 노래선율이 다른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셋째, 남창가곡 우조 해금반주선율과 노래선율의 시김새와 리듬변화가 나타난 선율을 비교분석하여 나타난 네 가지 유형을 악곡별로 정리하였고 각 악곡에서 나타난 유형들의 횟수와 선율의 위치를 정리한 결과 제1유형은 26번, 제2유형은 8번, 제3유형은 11번, 제4유형을 66번으로 정리할 수 있다. 반엽에서는 다른 유형은 나타나지 않고 제4유형만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네 가지 유형 중에 제4유형이 제일 많이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노래의 선율이 같은 음을 지속 할 때 해금반주가 여러 선율과 리듬으로 노래를 반주하여 각기 다른 선율을 나타냈으며 노래와 해금반주가 각기 다른 선율의 진행으로 나타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남창가곡 우조 9곡의 해금선율과 노래선율을 비교 고찰한 결과 시대가 흐름에 따라 선율의 형태는 실음보다 부호표기가 많아지면서 시김새와 리듬의 변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해금선율과 노래선율은 여러 유형으로 상호관계를 지니며 선율이 조화롭게 진행되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이러한 특징은 앞으로 노래와 반주선율의 연구 뿐만 아니라 해금정악 연구에 활용될 기초자료로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46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6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