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9 0

허준 소설 연구

Title
허준 소설 연구
Author
정선욱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진정한 근대주의자”로 평가받고 있는 허준의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그의 문학관과 소설적 주체의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허준 소설의 문학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허준이 작품 활동을 했던 식민지 조선가치 판단의 기준이 되는 진리의 부재로 인해 개인의 정체성을 스스로 구축해야만 하는 시대였다. 허준은 문학을 근대적 주체의 분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실험의 장(場)으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그의 소설은 근대적 주체의 ‘주체성 형성의 서사’이라 할 수 있다. Ⅱ장 1절에서는 허준의 텍스트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허무’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문학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허준은 본인의 텍스트에서 ‘허무’를 근대적 현상인 ‘니힐(nihil)’이 아닌 공백과 결여의 의미인 ‘무(無)’의 뜻으로 활용하였다. 더불어 허준은 ‘무’를 근대적 주체의 특징이자 본질로 규정하면서, ‘무’에 의지해 환멸의 정서를 극복하고 문학적 동력을 얻어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Ⅱ장 2절에서는 앞 절의 내용을 바탕으로 젊은 시절의 허준을 표상하는 인물이 등장하는 「습작실에서」를 분석하였다. 허준은 자신의 자전적 분신과 함께 자신의 세계관이 투영된 노인이라는 인물을 등장시켜 ‘허무’에 근거한 문학관을 작품을 통해 피력하였다. 진리가 부재하고 가치 판단의 기준이 사라진 근대 사회 속에서 새로운 가치 기준의 확립이 아닌, 진리의 부재 자체를 인정하는 고통과 ‘인욕’의 삶으로 나아가려는 허준의 의지를 「습작실에서」를 통해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허준의 해방 전 소설인 「탁류」와 「야한기」를 통해 허준의 소설적 주체들의 성격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Ⅲ장 1절에서는 「탁류」에 나타나는 ‘구원’의 의미에 주목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허준의 텍스트에서 ‘구원’이란 주체의 필연적 결여를 메워주는 수단이자, 주체의 근원적 욕망을 표상하는 기표로 기능한다. 「탁류」에 등장하는 허준의 소설적 주체는 상징적 질서 내에서 동일시에 실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정체성의 공백을 메울 대상을 끝없이 갈망한다. 하지만 그들은 ‘구원’되지 못하고 의심의 과정으로 되돌아가고 마는데, 이는 상징적 질서의 불완전함을 보여주고 분열된 주체가 인간 본연의 형상임을 증명하고자한 허준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었다. Ⅲ장 2절에서는 「탁류」에서 조형된 허준의 주체가 비슷한 형상으로 재등장하는 「야한기」를 살펴보았다. 「야한기」를 통해 허준은 「탁류」에서 보여준 문제의식에서 한발 더 나아가 윤리의 문제에 접근한다. 진리의 부재로 인한 주체의 정체성의 문제, 그리고 “숙명적인 의심”으로 인해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허준은 ‘희생의 유혹’에 빠지지 않는 ‘궁핍한 주체’를 제시함으로써 나름의 돌파를 시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Ⅳ장 1절에서는 앞선 두 장에서 확인한 허준 문학의 특징을 바탕으로 「잔등」을 통해 드러난 해방공간에 대한 작가의 역사인식과 “제삼자의 정신”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방 이후의 조국은 표면적으로만 문학적 자유가 허락되어있을 뿐, 이념의 미명 하에 표현과 사유에 대한 암묵적인 억압이 존재했던 곳이었다. 허준은 ‘민족의 감격’ 이면에 숨겨진 이러한 억압을 발견하고 의심과 탐구의 대상을 보편적인 ‘주체’에서 해방공간 속의 ‘주체’로 정밀화하였다. 또한 귀환이라는 형식을 차용함으로써 문학과 사상에 대한 ‘절대적 자유’를 얻고자했던 허준의 욕망을 확인하였다. Ⅳ장 2절에서는 「속 습작실에서」가 이념적 선택을 강요하는 사회 안에서 문학적 정체성을 지키고자했던 허준의 의지가 반영된 작품임을 논증하였다. 40년대 말로 접어들면서 경제적 곤궁과 이념적 압력 등으로 인해 허준 역시 「역사」와 같은 이념성이 짙은 작품을 창작하게 되지만, 「속 습작실에서」을 통해 자신의 내적 고민을 형상화하고 문학의 길을 고수하려는 의지를 표명하였음을 확인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78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6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