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0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블록형 한글 학습 모듈 개발

Title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블록형 한글 학습 모듈 개발
Other Titles
Developing a Korean Language-learning Module using Block-type Pieces to Help Self-directed Learning
Author
김보성
Alternative Author(s)
Kim, Bo Seong
Advisor(s)
박종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과학 기술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산업 내에서도 유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발히 개발되어지고 있다. 또한 많은 교육자들에 의해서 ICT를 활용한 교육이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검증이 이뤄지고 있다. 유아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유아가 교육에 대한 집중력을 올리기 위해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어야한다. 유아에게 한글을 교육하는 기존 방식은 학습지, 낱말카드,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미디어를 이용한다. 하지만 학습지와 낱말카드는 다양한 교육콘텐츠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유아가 쉽게 흥미를 잃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계속적으로 새로운 학습지와 낱말카드를 구입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낭비이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교육은 정해진 규칙과 주어진 목적이 명확하기 때문에 창의성을 키우기에 어려움이 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는 눈으로만 보는 교육방식이기 때문에 촉각적인 교육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교육방식의 장점은 살리고 각각의 단점을 보완한 블록형 한글학습 모듈 시스템에 대해 제안한다. 유아가 한글의 가획과 합성 원리에 대한 지식이 증가할수록 글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블록놀이를 통해 글자를 배울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블록을 인식하기 위해서 Matrix 구조로 44×28의 근접센서를 배치하였다. 인식된 Binary 이미지는 빅 데이터 기반으로 Template Matching을 통해 글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최종적인 데이터에 맞는 소리가 나오게 된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유아가 블록을 조합하여 만든 형태가 올바른 글자인지를 아닌지를 인식하게 되고 해당 글자가 어떠한 발음인지를 배우게 된다. 또한 제안한 시스템에 낱말카드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을 추가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유아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유아에게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유발 및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인 감각을 활성화 시키고 블록놀이라는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통해 기존의 교육 방식을 보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23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4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OMPUTER SCIENCE(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