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플립러닝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Title
대학 플립러닝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College Students’ and Instructors’ Flipped Learning Experience
Author
정하은
Advisor(s)
유영만
Issue Date
202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대학교육에서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지원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그러한 시도 중 하나가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다. 플립러닝은 교수자가 지식을 전달하던 전통적 수업방식을 뒤집어 학습자는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학습 관련 콘텐츠를 학습하고, 수업시간에는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응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주도적으로 학습 과정에 참여하며, 기존의 경직된 수업방법을 극복하고 있었다. 플립러닝이 가져오는 변화와 그 의의가 주목받으면서 플립러닝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교육 현장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플립러닝 수업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질적인 면에서 경험이나 학습의 과정을 탐색하기보다는 플립러닝에 관한 양적 연구 기반의 효과성 연구 및 수업모형 설계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따라서 플립러닝의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학 플립러닝의 수업 실천현장에서는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는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플립러닝이 실제 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써 제대로 구성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재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플립러닝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이 보완되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현장 중심의 플립러닝 수업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플립러닝 수업 사례를 선정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탐색한 후, 대학 플립러닝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플립러닝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밝혀내었다. ‘플립러닝을 선택한 이유’, ‘온라인 사전학습’, ‘오프라인 수업활동’, 그리고 ‘수업 후 성찰’의 측면에서 범주화하였다. 두 번째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에 비추어 본 대학 플립러닝의 문제점 요인을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 부족’, ‘온라인 사전학습의 중요성 간과’, ‘온라인 학습공간의 제한적 활용’, ‘오프라인 수업활동 시간 부족’, ‘수업 후 성찰 시간 부족’, ‘학습자 성향에 따른 플립러닝 적응 차이’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현장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A대학교의 플립러닝 수업 맥락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가진 실무진 FGI와 문헌연구를 통해 보다 현장기반의 플립러닝 개선방안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플립러닝 수업 현장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향후 플립러닝 환경에서 대학교육 현장의 수업관계자에게 교수자의 수업설계 및 학습자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현재 국내 대학에서 혁신 교육의 방법으로 플립러닝을 도입하고 활용하는 방안에 있어서 플립러닝의 양적 확산에 주목하면서 놓치고 있던 질적인 수준에 실무진에게 대학 현장의 맥락을 고려하는 실제적인 처방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유행처럼 쏟아져 나오는 시점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의 도입 취지를 살려 수업의 맥락이 반영된 플립러닝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조그마한 시작점이 되었으면 좋겠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319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72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