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9 0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대중적 시각문화의 기호학적 분석: 영화 ˂토끼 울타리(Rabbit-Proof Fence)˃를 중심으로

Title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대중적 시각문화의 기호학적 분석: 영화 ˂토끼 울타리(Rabbit-Proof Fence)˃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Semiotic Analysis of Popular Visual Culture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Film <Rabbit-Proof Fence>
Author
김선아
Keywords
다문화미술교육; 시각문화; 기호학; 비평학습; 영화; multicultural art education; visual culture; semiotics; critical learning; film
Issue Date
2018-12
Publisher
한국조형교육학회
Citation
조형교육, v. , no. 68, page. 143-173
Abstract
본 연구는 영화 ‘토끼울타리’에 재현된 인종, 문화, 정체성 등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비평 학습을 위한 분석 틀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시각문화를 활용한 다문화미술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호학을 중심으로 등장인 물, 내러티브, 장면 및 대사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토대로 영화의 시각적 특성에 나타난 다문화적 양상을 분석한 후기표로서 조형 요소의 사회적 의미와 시각문화 비평의 틀을 논의하여 다문화미술교육의 수업 활동을 제안하였다. 영화 ‘토끼 울타리’는 백인우월주의와 억압에 직면한 소녀들의 저항에 관한 내러티브로써, 이러한 시각문화의 서사구조와 조형언어 분석은 미술교육뿐 아니라 다문화이해교육 측면에도 가능성을 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시각문화가 다문화 사회를 이해 하고 고정된 인식을 전환하는 매체가 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영화 속에 내재된 내러티브와 이데올로기를 분석하고, 이것이 가지는 ‘감정에 대한 주목’의 측면에서 미술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미술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실제적 교수-학습 실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n analysis framework for critical learning by analys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race, culture and identity that is reproduced in the film ‘Rabbit-Proof Fence’, and exploring method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utilizing visual culture.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s, narrative, scene and dialogue of the film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semiotics. Based on the results,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multicultural aspects found i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film. Then, we discussed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symbols as a formative aspect and the critical framework of visual culture, to propose a lesson activity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film ‘Rabbit-Proof Fence’ is a narrative about the resistance of girls who are faced with white supremacy and oppression, and analys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formative language of this visual culture embeds possibilities for not only art education, but also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On the premise that visual culture can be a medium to underst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change misconceptions and stereotypes, this study analyses the narrative and ideology inherent in the film and seeks to draw art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its ‘observations of emo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foundational research for the pragmatic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art lessons in the future.
URI
http://saek.or.kr/?c=write/32&type=view&a=2045316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1132
ISSN
1225-4177; 2508-8947
DOI
10.25297/AER.2018.68.14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