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8 0

소셜 미디어와 인플루엔자 비상사태: 한국의 2015년 MERS 사태 트위터 내용 분석

Title
소셜 미디어와 인플루엔자 비상사태: 한국의 2015년 MERS 사태 트위터 내용 분석
Other Titles
Social Media and Influenza Emergency: Content Analysis of Tweets during the 2015 MERS Outbreak in Korea
Author
이병관
Keywords
소셜 미디어; 헬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MERS; 정서 분석; 정보 확산; 트위터; Social Media; Health Risk Communication; MERS in South Korea; Public Sentiments; Information Diffusion; Tweets
Issue Date
2019-01
Publisher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Citation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 18, No. 1, Page. 31-62
Abstract
The risk perception is a key issue for effective health risk communication. This study gathers and analyzes MERS-related tweets in order to monitor and understand the public perception on Twitter during the MERS outbreak of 2015 in South Korea. The main purpose of study i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MERS-related tweets. Using Naïve Bayesian classifi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ublic sentiments on Twitter and examines how the sentiments affect the spreading volume, duration, and speed of MERS-related tweets. The results show dramatic changes in the amount of MERS-related tweets during these sequences of time periods. The results of sentiment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public on Twitter had chang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types of triggering events. Moreover, an emotional (positive or negative) message in social media seems to receive more attention and feedback than a non-emotional message and induce cognitive and arousal-related effects that trigger sharing behavior in social media communication. 위험 인식은 효과적인 헬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주요한 쟁점이다. 본 연구는 2015년 MERS사태에 트위터에서 발생하는 대중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MERS와 관련된 트윗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MERS와 관련된 트윗의 수의 변화를 확인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Naïve Bayesian 분류법을 사용하여 트위터 상에서 대중의 정서를 분석 하고 이러한 정서가 확산 정도, 지속성, 속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대중의 정서적 반응이 정부에 대응과 사건의 전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감정적인 트윗이 중립적인 트윗보다 더 오래 지속되었다. 하지만 중립적인 트윗은 감정적인 트윗보다 빠르게 퍼져 나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위험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사람 들은 메시지의 정서적인 영향보다는 정보의 유용성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연구의 실무적 함의로는 위험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과 대중의 정서를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인 헬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735577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213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