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9 0

이상규 대금독주곡에 나타난 작곡기법 연구

Title
이상규 대금독주곡에 나타난 작곡기법 연구
Other Titles
Compositional Methods of Lee Sang Kyu’s Pieces for Daegeum Solo
Author
선중규
Alternative Author(s)
Sun, Joong Kyu
Advisor(s)
김영운
Issue Date
2019.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1960년대부터 2000년도 초반까지 활발한 작품활동을 했던 이상규는 동시대의 동료 작곡가들처럼 서양음악적 작곡 방식을 그의 작품에 도입하여 새로운 창작음악을 작곡해 나갔다. 하지만 이상규는 서양음악적 작곡 방식을 사용함과 동시에 전통음악적 요소를 작품 안에 효과적으로 포함시키는 작곡가 중 하나로 평가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그와 그의 대금독주곡 작품에 특별히 주목할 만한 이유는 그가 대금연주자 출신으로 대금에서 나타낼 수 있는 전통음악적 기법들의 결합이 주는 특징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규의 대금독주곡 작품을 대상으로 이상규 대금독주곡에 나타난 작곡기법을 <전통음악적 요소의 활용>과 <시김새의 활용>으로 분류했다. <전통음악적 요소>로는 선율, 장단, 형식으로, <시김새의 활용>으로는 장식음 기능의 시김새와 요성 기능의 시김새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각각의 요소가 작품 안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분석하여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계(音階)와 악조(樂調) 등의 음조직 분석과 선율분석을 통해 이상규 대금독주곡에 나타난 종지 선율을 살펴본 결과, 이상규는 전통음악의 5음 음계 안에서 평조와 계면조의 선법을 주로 활용했으며, 이를 다양한 조로 변조해가며 작품 안에서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둘째, 이상규는 연주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통음악 장단인 산조 장단의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엇모리, 자진모리와 영산회상의 세령산 장단, 도드리 장단 등을 활용하여 장단을 작품 안에서 중요한 기법으로 활용하였다. 셋째, 이상규 대금독주곡 작품에는 전통적인 형식미가 존재했는데, 특히 전통음악 형식 중 모음곡 형식을 활용하여 악장별로 작품을 나누는 특징이 나타났다. 각 악장별로 박자, 리듬, 조성을 다르게 함으로써 악곡의 단조로움을 탈피하고자 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이상규는 장식음 기능의 시김새를 주음 혹은 주요음을 꾸며주며 특정 음을 강조하거나 자연스러운 선율의 연결구 역할로써 사용했다. 시김새를 활용하는 작곡기법은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창작 음악을 작곡하는 작곡자에 있어 중요한 작곡기법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며, 전통음악의 특징 중 하나인 선율을 구성하는데 시김새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나타냈다. 특히 이상규의 대금독주곡 작품에서 나타난 앞꾸밈음과 뒤꾸밈음 기능의 시김새는 현행 대금에서 쓰이는 어느 특정한 시김새 두세 가지에 편중하지 않고 21개의 시김새를 골고루 사용하였다. 다섯째, 이상규는 요성 기능의 시김새를 활용하여 그의 작품 안에서 요성, 퇴성, 추성 기법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사용했으며, 변조된 악조의 주음을 강조하거나 사전에 예비하는 역할, 선율의 진행을 자연스럽게 하는 역할로써 중요한 작곡기법적 요소로 활용하였다. 이상규는 서양음악적 작곡기법이 유입되던 시기에 연주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통음악적 요소를 통해 자신만의 음악 어법을 구사하며 대금을 위한 작품을 끊임없이 작곡한 작곡가이다. 이 연구가 특별히 작곡가들에게 대금독주곡에 대한 작곡기법을 이해하고 새로운 대금 창작곡을 작곡할 때 중요한 단서로 활용되길 기대해본다.; Lee Sang-Kyu, who actively engaged in composition from the 1960s to early 2000s, introduced the Western music composition method to his works like his contemporaries and composed new music of his own. Lee Sang-Kyu, however, was regarded as one of the composers who effectively incorporate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into his works while simultaneously using the Western musical composition method. Particularly he as the composer of Daegeum music and his Daegeum (a large traverse bamboo flute) solo pieces are noteworthy presumably because he combined the traditional musical techniques that he as a Daegeum performer could express through Daegeum. This study classified the composition techniques in Lee Sang-Kyu's Daegeum solo pieces among his Daegeum solo works into and . were classified into melody, beat and style, and was classified into the ornamental function and Yoseong (vibration) function so as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how each element is utilized in works. The examination results are described below.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scale, tone and tonal organization, and the analysis of melody, the cadent melodies in Lee Sang-Kyu Daegeum solo pieces were examined, revealing that Lee Sang-Kyu utilized mainly the Pyeongjo and Gyemeyonjo mode within the 5-note scale of traditional music and modulated the mode in the diverse way thus pursuing the diversity within his works. Second, Lee Sang-Kyu, based on his experience as a performer, utilized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al solo rhythms and beats, including Jinyangjo, Jungmori, Jungjungmori, Eotmori, and Jajinmori, as well as Seryeongsan and Dodeuri of Yeongsanhoesang (a suite), thus using beats and rhythms as a major technique in his works. Third, Lee Sang-Kyu Daegeum solo works embraced the traditional stylistic beauty, and in particular, of the traditional music styles, the suite-style was utilized to divide works by movement. By movement, the beat, rhythm, and tonality were made to vary, thus avoiding the monotony of music. Fourth, Lee Sang-Kyu decorated the principal tones or major tones with the ornamental function of Saegimsae, emphasizing particular tones and achieving a natural melodic connection. The composition technique involving the use of Sigimsae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composition method for the composer who composed creative music pieces based on traditional music, and Sigimsa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melody which is one of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In particular, Sigimsae as the function of appoggiatura and after-note in Lee Sang-Kyu's Daegeum solo works was not biasedly inclined to certain several types of Sigimsae that are used in modern-day Daegeum music, but instead used 21 types of Sigimsae evenly. Fifth, Lee Sang-Kyu used Sigimsae as the function of vibration, thus taking advantage of the diverse techniques including Yoseong, Toeseong and Chuseong in his works. He also used the technique to emphasize the keynote of modulated tones, to prepare in advance, or to naturally advance melodies. When the Western musical composition technique was introduced to the nation, Lee Sang-Kyu, based on his experience as a performer, made use of his own musical grammar through the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and continued to compose Daegeum work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composers to better understand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Daegeum solo and to create new Daegeum music.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971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62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