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0

조직원의 심리적 주인 인식과 기업 이미지 형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기업 이미지 광고에 대한 진정성 인식, 직무 만족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요인을 중심으로

Title
조직원의 심리적 주인 인식과 기업 이미지 형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기업 이미지 광고에 대한 진정성 인식, 직무 만족도,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요인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earch for Factors that Help form Employee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Corporate Image : Perceived Authenticity of Corporate Image Advertising, Job Satisfaction, and Inter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uthor
한미정
Keywords
심리적 소유의식; 기업 이미지; 기업 이미지 광고; 커뮤니케이션 진정성; 사내 커뮤니케이션; psychological ownership; corporate image; perceived authenticity of corporate image advertising; job satisfaction and inter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ssue Date
2017-12
Publisher
한국광고홍보학회
Citation
광고연구, No. 115, Page. 297-331
Abstract
본 연구는 조직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과 기업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철강 제조 기업에 근무하는 318명의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자사의 기업 이미지 광고에 대한 진정성 인식, 개인적 근무 요인(근무 유형, 근속 연수), 업무 관련한 만족도 요인(직무 만족, 사내 커뮤니케이션 만족) 등의 변인들이 자신들의 일터에 대한 주인의식 형성(심리적 소유 의식, 적극적 · 자발적 태도)과 이들이 지각하는 기업 이미지 형성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파악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 예측 변인이 해당 제조 기업에 대한 주인의식 형성과 기업 이미지 형성을 설명하는 데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조직원이 접한 기업 이미지 광고에 대한 진정성 인식, 근무 유형과 사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심리적 주인의식 형성과 기업 이미지 형성에 정적인 관계를 보여 주었다. 한편 근무에 관련한 변인과 기업 이미지 광고에 대한 진정성 인식 변인의 설명력을 비교한 결과, 기업이미지 광고에 대한 진정성 인식이 심리적 소유 의식과 조직에 대한 적극적 · 자발적 태도 형성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진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는 현장직이라는 근무 유형이 높은 설명력을 보여 주었다. 기업 이미지 형성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기업이미지 광고에 대한 진정성 인식 변인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부서 간 의견 교환이나 업무 협조, 불만 표출 등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변인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사 기업 이미지 광고의 진정성이 담보된다면, 이러한 광고가 조직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과 기업 이미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The current study analyzed 318 employees of a steel manufacturing company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work-related factors such as type of work and years of service, work-related satisfaction factor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inter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erceived authenticity of corporate image advertising on forming their psychological ownership and perceived corporate imag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e predictor variables were found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corporate image. Specifically, the type of work significantly explained formation of owner’s spirit both i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voluntary attitude toward work and organization and formation of favorable corporate image. Also satisfaction in internal communication turned out to be a very important predictor in forming owner’s spirit both i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voluntary attitude toward work and organization and forming corporate image they work for. However, perceived authenticity of corporate image advertising explained the most in predicting formation of owner’s spirit both i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voluntary attitude toward work and organization and respondents’ formation of corporate imag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porate image advertising has significant influence with its internal public in their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f their own organization image.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2967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3794
ISSN
1227-8181
DOI
10.16914/ar.2017.115.2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