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6 1516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지훈-
dc.date.accessioned2019-12-08T18:01:14Z-
dc.date.available2019-12-08T18:01:14Z-
dc.date.issued2018-07-
dc.identifier.citationHRD연구, v. 20, no. 2, page. 141-165en_US
dc.identifier.issn1229-5086-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5345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9542-
dc.description.abstract환경의 변화 속에서 조직구성원의 정서적 상태에 대한 관심과 몰입을 위한 지원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11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정서적 소진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정서적 소진은 조직몰입에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상호작용 공정성은 정서적 소진과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정서적 소진이 상호작용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소진과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의 매개효과는 자기효능감이 평균보다 높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이 낮은 구성원들은 상사의 지원과 인정이 지속적인 몰입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자기효능감이 높은 구성원들에게는 조직 차원에서 규범과 직무수행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 지속적인 몰입을 유지하는 요소임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복잡한 변수들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 할 수 있다는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HRD 현장에서는 개인 수준에서 정서적 소진과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지원과 조직 수준에서 상사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유도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근거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di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IJ)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exhaustion(E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OC)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SE) was examined. As results, first, EE showed negative effect on OC; and IJ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facto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E and OC. Second, S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oderating variable. Finally, the mediating path of EE on the path of OC through the IJ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social workers’ SE. In these perspectives, we suggested that leaders’ recognition could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staining work engagement of the employees who have the lower level of self-efficacy. In contrast, for the employees who have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providing work-related norms and procedures at the organization level could be the more important promoting factor for their work engagement. Current research used moderated mediating analysis to examine complex structure among the behavioral variables; and practically, based on the results HRD practitioners should applied situationally different strategies to improve employees’ commitment.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8년도 한양대학교 우수논문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HY-2018G)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인력개발학회en_US
dc.subject정서적 소진en_US
dc.subject상호작용 공정성en_US
dc.subject조직몰입en_US
dc.subject자기효능감en_US
dc.subject조절된 매개효과en_US
dc.subjectEmotional exhaustionen_US
dc.subjectInteractional justiceen_US
dc.subjectOrganizational commitmenten_US
dc.subjectSelf-efficacyen_US
dc.subjectModerated mediating effecten_US
dc.title정서적 소진이 상호작용 공정성을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The influence of interactional justice on emotional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20-
dc.identifier.doi10.18211/kjhrdq.2018.20.2.006-
dc.relation.page141-165-
dc.relation.journalHRD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진주-
dc.contributor.googleauthor노윤정-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정은-
dc.contributor.googleauthor송지훈-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Jinju-
dc.contributor.googleauthorRo, Yunjeong-
dc.contributor.googleauthorPark, Jungeun-
dc.contributor.googleauthorSong, Jihoon-
dc.relation.code2018018609-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EDUCATION[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dc.identifier.pidjhsong77-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