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연숙-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19-02-28T03:01:33Z-
dc.date.available2019-02-28T03:01:33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39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419en_US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각 지역에서는 과거 중요한 생산적 기능을 담당하던 산업단지 및 산업시설이 현대사회의 사회변화로 인해 산업적 생산기능이 감소함에 따라 그 기능을 상실한 채 방치된 폐산업시설을 문화예술공간으로 활용하는 대안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은 기존 버려져있는 폐산업시설을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하여 과거시설과 현재시설이 공존하여 그 안에서 다양한 경험과 자극을 통해 새로운 체험을 제공하게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최근에는 수도권을 비롯하여 각 지역에서 문화재생 정책을 통해 폐산업시설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하는 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사업은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하여 지역주민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역 활성화 및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수행하면서 새로운 활력소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관점에서 국내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공하는 것으로 향후 복합문화공간 계획 시 디자인 및 공간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활성화를 위해 폐산업시설의 재생 특성과 공간디자인에서의 경험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여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디자인 특성을 새롭게 도출하였다. 국내 12곳의 사례 분석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계획 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현재 국내에는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사례수가 많지 않아 사례 선정에 있어 공통점을 찾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기능별 등으로 범위를 규정하여 보다 많은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의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공간을 경험한 이용자 만족도나 심층면접 등을 통해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에 경험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that Utilizes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지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I HYE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실내건축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