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 0

독거노인 공동생활시설의 리모델링에 관한 평가 연구 - 경기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Title
독거노인 공동생활시설의 리모델링에 관한 평가 연구 - 경기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modeling of the Co-housing for Seniors Living Alone - Focused on the ‘Carnation House’ in Gyeounggi-do Area -
Author
황연숙
Keywords
독거노인 공동생활시설; 리모델링; Co-housing for Seniors Living Alone; Remodeling
Issue Date
2016-09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 25, NO. 5, Page. 31-41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카네이션하우스 사례의 리모델링 분석을 통해 리모델링 공간에 대한 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독거노인 공동생활시설의 공간 리모델링 계획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실측조사, 사진촬영, 운영자 면담조사로 진행되었으며, 리모델링 전과 후의 평면 자료 비교를 통해 리모델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독거노인 공동생활시설은 리모델링 시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리모델링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그 지침이 없어 노인들을 위한 리모델링 공간 지침이 지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노인의 안전성을 고려한 의료서비스나 유니버설디자인 계획, 라이프스타일, 노인들의 이용행태 등을 연계하여 보다 근본적인 리모델링의 접근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독거노인 공동생활시설은 주로 용도변경에 의한 리모델링으로 그 면적이 다소 협소 하므로 노인들이 작은 공간에서 다목적, 다기능적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변성 있는 공간 계획이 매우 중요하다. 넷째, 테라스 공간은 노인들의 쉼터 및 이웃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간이며 이익 창출에 도움을 주는 필수적인 리모델링 공간이므로 다양한 프로그램 및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리모델링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다섯째, 외관 리모델링의 경우 새로운 재료의 사용이나 색채를 통해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modeling of Carnation House,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spatial remodeling, and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patial remodeling of communal lif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 this e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photograph shooting, and interviews with managers were performed, and a re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data before and after the remodeling.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as there is no standard for the remodeling of communal lif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related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in the near future. Second, more fundamental approach to the remodeling should be made considering medical services for the elderly’s safety, universal design plans, lifestyles of the elderly, and their use behaviors. Third, as communal lif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normally have small spaces due to the remodeling by change of use, variable spatial planning should be performed for the elderly to utilize communal life facilities as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spaces. Fourth, as the terrace space is an essential remodeling space needed for the elderly’s rest, communication, and creation of profits, its remodeling should be realized in such a way that various programs can be utilized. Fifth, it turned out that the exterior remodeling could change the overall image of the facilities through new materials and colors.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ArticleFullRecord.jsp?cn=SNDJBZ_2016_v25n5_3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80371
ISSN
1229-7992
DOI
10.14774/JKIID.2016.25.5.03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