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세환-
dc.contributor.author서민규-
dc.date.accessioned2018-09-18T00:46:15Z-
dc.date.available2018-09-18T00:46:15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600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683en_US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 도시지역은 60년 만에 급격한 도시성장을 이루었다. 반면, 1963년 7.8%에 불과하던 불투수면적률이 2010년에 와서는 27.7%에 이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1963년 10.6%였던 빗물 표면유출량이 2010년 51.9%까지 증가되어 여러 도시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된 것이다. 해가 지날수록 여름철 강우강도가 거세지는 등 예전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제는 시각의 변화가 필요하다. 재해의 원인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갖는 수자원으로 바라보고 삶의 필수적인 공공재로 활용하기 위한 근본적인 변화의 패러다임으로 바라봐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 자연적 수순환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영향개발(LID)이 주목 받고 있다. 자연적 수순환 체계는 유역 내에서 우수를 저류, 침투 및 이용함으로써 지표유출량을 줄여 침수피해를 저감할 수 있으며, 도시의 수순환체계를 회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자연적 수순환체계를 회복시키기 위해 도시지역 도로를 대상으로 기능별 수순환체계 구축 연구를 진행하였다. 도시지역 도로의 기능은 다양하게 분류되나, 그 중 도시지역 내부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교차로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도시지역 도로의 수순환체계 회복을 위해 우선적으로 침투시설의 적용이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저류시설의 병행 및 녹지의 기능개선 등을 통해 이를 보완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적용 요소들에 대해 도로기능별로 침투·저류시설 배치계획을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자연적 수순환체계의 회복을 목적으로 도시지역 도로의 침투시설의 도입이 적합한 부분을 도출하여 적용하였다. 주간선, 보조간선, 집산, 국지 도로에 침투 및 식생여과시설을 도입하고 주간선도로에 한하여 교차로의 교통섬에 저류시설을 도입하였다. 둘째, 침투시설의 적용만으로는 수순환 체계를 회복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저류시설인 빗물저류조를 설치하여 설계침투량을 보완하였고, 저류한 빗물은 조경용수, 살수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의 제시와 저류시설 설계량 산정을 통해 이용 가능량을 확인하였다. 셋째, 도입한 시설을 통해 녹지를 확보하고, 투수성포장의 도입으로 추가적인 저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다. 기존의 획일적인 녹지 기능에서 벗어나 지표유출저감, 열섬현상 완화 등 도시환경문제 개선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 도로의 기능별 수순환체계 구축 설계를 통해 향후 경제적인 방향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기대효과를 불러일으키는 도시 환경적 측면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도시지역 도로의 기능별 수순환체계 구축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ater recycling system for the Urban roads func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서민규-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mingyu-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설계·경관생태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