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8 | 역세권 상업지역의 업종별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여은실 |
2015-08 | 감각적이미지가 장소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김형석 |
2015-08 | 아파트 조경식재공사 하자보수에 있어 갈등 발생 요인분석 | 이용표 |
2016-02 |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철새도래지 서식환경 설계 연구 | 서지혜 |
2016-08 | 광주 대인예술시장의 사회적관계망 특성 및 예술인의 지속적 활동의사에 관한 연구 | 박주영 |
2016-08 | 생애주기를 고려한 도시근린생활권공원의 이산화탄소 배출ㆍ흡수량 분석 | 김현재 |
2017-02 | 주거환경관리사업의 공동체활동 지속성 및 사회적관계망 영향분석 | 박원희 |
2017-02 | 수목원 유형별 이용자 선호 이미지 분석 | 김서현 |
2017-02 | 청계천의 양서류 소생태계 향상 적지(適地) 선정 연구 | 이태훈 |
2017-02 | 도시 공동주거단지의 수순환 시스템 구축 연구 | 정진주 |
2017-02 | Relationship between heritage incentive program and resident’s awareness of preservation: Case of Bukchon Village - Seoul | 라이싸위모하메드 |
2017-02 | 다세대·다가구 우세지역과 아파트 우세지역의 건폐율과 용적률이 열섬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 박재빈 |
2017-02 | 도시 저층·저밀 주거지역의 수순환 체계 구축 연구 | 정재성 |
2020-02 | 서울시 50플러스 캠퍼스 사업이 장년 이용자의 사회참여활동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김해은 |
2020-02 | 서울시 공공임대 예술인맞춤형 공동체주택 거주자의 근린공동체 의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 | 우호성 |
2020-02 | 역사문화 특성이 구시가지의 장소성 형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 황미 |
2020-02 | 저층주거지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거주민의 공공공간 이용행태 특성 분석 | 신명숙 |
2020-02 | 근린환경과 노인의 보행목적별 보행활동 및 건강인식의 영향관계 분석 | 최다은 |
2020-02 | 마을공동체 사업 만족도가 공동체 의식 및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심현학 |
2020-02 | 경기도 주택유형별 빈집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분석 | 김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