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7 0

모유 수유가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감염 중증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모유 수유가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감염 중증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breastfeeding on the severity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among Korean infants: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Author
나재윤
Alternative Author(s)
Na, Jae Yoon
Advisor(s)
김용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목적: 모유 수유를 한 아기에게 우수한 면역성이 증가함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모유 수유를 함으로써 아기와 수유모가 얻는 다양한 이점도 많이 홍보되고 있다.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로 인한 심각한 모세기관지염의 경과와 중증도 및 예후에도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는 선행인자 중 하나로 수유 형태가 손꼽히고 있다. 저자들은 수유 형태에 따라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에 감염된 영아들의 임상 경과 및 중증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16년 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2년 간 급성 모세기관지염으로 입원하여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가 검출된 생후 30일 이상 12 개월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모유, 혼합, 분유 세 그룹으로 나누어 입원 시 연령 및 체중, 형제자매 유무, 주산기 질환 및 과거력, 중복 감염 등의 역학적 특성과 청진음, 흉골 함몰, 청색증, 발열, 입원 기간, 입원 시 호흡수, 스테로이드의 사용, 산소 투여 여부, 중환자실 입실 치료 등 임상적 특징과 경과가 수유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다기관 연구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2년 동안 급성 모세기관지염에 걸렸던 영아들 중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었던 영아는 총 333명이었다. 모유만을 수유 받은 영아는 70명(21.0%), 모유와 분유를 혼합하여 수유 받은 영아는 113명(33.9%), 모유를 한번도 수유 받지 못하고 분유 수유만을 진행한 영아는 150명(45.0%)이었다. 모유 수유를 한 그룹에서는 11명(15.7%)에게서 중복 감염이 확인되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중복 감염에 이환된 영아 수가 적었으며, 청진 소견이 상대적으로 깨끗하고 흉곽 함몰이 나타나지 않은 영아의 비율이 높았다. 청색증, 발열, 재원기간, 호흡수, 스테로이드 치료 유무 등은 수유 형태와 큰 연관을 보이지 않았다. 모유 수유를 한 경우 산소를 투여 받은 영아의 비율은 4명(5.7%)에 불과하였으나, 모유와 분유의 혼합 수유 혹은 분유 단독 수유를 진행 받은 영아들에서 산소를 투여한 경우는 각각 15명(13.3%), 24명(16.0%)로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비율의 영아가 산소를 투여 받았다. 모유 수유를 한 영아 중 중환자실 입실 치료를 받은 영아는 단 한명에 불과하였으며, 이 영아는 과거 중증 질환의 과거력이 있었다. 결론: 완전 모유 수유를 받았던 영아들은 혼합 및 분유 수유를 받은 영아들과 비교하여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와 동반된 중복 감염에 이환된 경우가 적었고,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로 인한 급성 모세기관지염에 대해 산소를 투여 받을 정도의 높은 중증도가 나타날 확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집중적인 치료를 받는 사례가 더 적었다. 또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모유 수유를 받은 영아들의 모세기관지염 중증도는 확연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빈도와 중증도를 낮추기 위해 모유 수유를 적극적으로 권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84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71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