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4 0

승리접근경험 시 신경생리학적 반응을 통한 인터넷게임장애 중독성향 진단

Title
승리접근경험 시 신경생리학적 반응을 통한 인터넷게임장애 중독성향 진단
Other Titles
Neurophysiology of Near-miss : A possibility for assessing internet gaming disorder
Author
조건상
Alternative Author(s)
Geonsang, Jo
Advisor(s)
정은주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승리접근경험은 성공에 거의 근접한 상태에서 실패하여 객관적인 결과는 실패와 같지만, 이를 단순히 실패한 것으로 지각하기 보다는 성공에 가깝게 지각을 하는 경우를 뜻한다. 승리접근경험 시 행동 및 신경생리학적 반응이 일반적인 실패와 구별되며 중독의 심각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리접근경험 시 관찰되는 행동 및 신경생리학적 반응을 분석하여 인터넷 게임 장애 중독성향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실험에는 총 32명(대조군 21명, 인터넷 게임 장애군 11명)이 참여하였다. 참여자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목표 지점까지 도달하는 아케이드 게임을 수행하며, 수행하는 동안 행동반응과 근적외선분광기(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를 사용한 대뇌 신경생리학적 반응이 측정되었다. 측정된 데이터는 평가유형(객관적, 주관적), 게임결과(실패, 실패접근, 승리접근, 성공)에 따라 집단별, 집단간 분석되었다. 행동분석 결과, 인터넷 게임 장애군의 동기수준에서 평가 유형과 게임결과 간 교호작용이 유의하였다(p < 0.05). 이는 승리접근경험 시에 주관적 평가결과보다 객관적 평가결과에서 동기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실패접근 시에는 주관적 평가결과보다 객관적 평가결과에서 동기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에 근접했을 때엔 실제 결과보다 더 동기수준이 증가하지만, 실패에 근접했을 때는 실제 결과보다 동기수준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뇌 신경생리학적 반응 분석 결과, 객관적 평가 유형의 게임결과에 따른 승리접근경험 시 인터넷 게임 장애군에서 우측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 양측 배측전전두피질(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에서 대조군보다 활성화 수준이 유의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p < 0.05). 또한 인터넷 게임 장애군의 우측 안와전두피질에서 평가유형과 게임결과간 교호작용이 유의하였다(p < 0.05). 이는 승리접근경험시에 주관적 평가결과보다 객관적 평가결과에서 우측 안와전두피질의 활성화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실패접근 시에는 주관적 평가결과보다 객관적 평가결과에서 우측 안와전두피질의 활성화 수준이 더 높음을 나타낸다. 성공에 근접했을 때엔 실제 결과보다 활성화 수준이 낮아지지만, 실패에 근접했을 때는 실제 결과보다 활성화 수준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동반응과 대뇌신경생리학적 반응을 비교한 결과, 인터넷 게임 장애군에서는 행동반응과 안와전두피질의 반응이 반대의 경향성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실패접근시 승리접근시보다 경험하는 보상에 대한 기대수준이 더 높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게임에서의 행동적 특성 및 대뇌신경생리학적 반응을 활용하여 인터넷 게임 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7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8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TS AND TECHNOLOGY(아트테크놀로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