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0 0

청소년들의 학교 밖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의 교육적 의미와 기능 탐구

Title
청소년들의 학교 밖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의 교육적 의미와 기능 탐구
Other Titles
An Educational Inquiry on Meaning and Function of Adolescents' Self-directed Art Practice Beyond School
Author
이민정
Alternative Author(s)
Lee Min Jung
Advisor(s)
김미남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의 미술수업 사태에서 청소년들이 종종 미술표현에 어려움을 겪으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지 않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단편적으로 이와 같은 상황만을 본다면 청소년들이 “미술”에 흥미가 낮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청소년들은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공간에서 자기들만의 미술문화를 형성하고 누리고 있다. 청소년들은 실제 삶 속에서 미술표현의 필요성을 발견했을 때 표현 욕구가 더 발휘되며 활발하게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구현하려는 실행력도 갖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실제 삶 속에서 자기주도적으로 미술활동을 이어나가는 청소년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은 공교육에서의 미술교과를 중요한 교과로 인식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학교 밖에서 자발적으로 미술활동을 하는 학생들을 찾고 그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그들의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이 갖는 유의미한 미술 교육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적 가치를 학교교육과정에도 반영할 수 있다면 청소년들이 학교의 미술수업 역시 삶의 연장선임을 인식하고 즐겁게 학습에 임하도록 하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학교 밖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의 교육적 의미와 기능을 탐구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Dewey의 경험주의 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청소년기의 자기주도적 미술활동 경험이 유의미한 교육적 가치를 담고 있음을 파악했다. 또한 자기주도적 미술학습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학습사태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의 개념과 의미를 탐색하고 자기주도학습에서의 교사 역할이 기존의 교육현장에서와 다른 방향으로 재구조화되어야할 필요성과 자기주도미술학습의 당위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기의 또래관계에서 일어나는 학습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긍정적인 또래관계와 또래애착이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발견했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실천적 학문으로서 미술교육이 제 역할을 수행해야한다는 사명 아래, 청소년들의 학교 밖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이 갖는 미술 교육적 가치와 논의들을 구체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문화공간 L.O.E에서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을 이어나가는 청소년 모임들에서 나타나는 청소년들의 미술표현 원동력이 무엇인지, 이들의 활동이 일어나는 환경은 어떠한 특성을 지니며 이들의 활동이 교육적으로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한 탐구를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실제적인 경험에 기반한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론의 한 방법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시행하여 청소년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정기적으로 L.O.E에 방문하여 청소년들의 활동을 관찰하고 수집된 자료는 인터뷰 속 청소년들의 구술을 이해하는데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위의 과정을 통해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의 원동력”, “효과적인 활동을 위한 환경 구성”, “청소년으로부터 시작하는 또래학습”의 세 가지 주제로 대표되는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의 특성과 논의점 및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공간에서 일어나는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더 넓은 범주의 맥락에서 청소년들의 활동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기능이 탐구되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언어적 표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도출된 미술 교육적 의미와 기능들을 바탕으로 더욱 다양한 차원의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공교육에서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이 활발히 일어나게 되어 더욱 많은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삶에서 자기주도적 미술활동의 경험을 갖는 것을 기대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31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04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