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양희-
dc.date.accessioned2018-05-30T01:11:56Z-
dc.date.available2018-05-30T01:11:56Z-
dc.date.issued2016-06-
dc.identifier.citation사학연구, NO 122, Page. 155-190en_US
dc.identifier.issn1225-133X-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70353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1674-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식민지시기 신사임당이 재현되는 방식과 그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신사임당 담론에 작동하는 젠더 정치학을 고찰하였다. 러일전쟁 후부터 식민지시기에 이르는 근 40여 년간 신사임당은 무려 3번에 걸쳐 이미지 변신을 한다. 먼저 여성교육의 필요를 강변하기 위해 이율곡의 어 머니로서 자녀교육을 잘한 ‘교육받은 여성’으로 의미화 되기 시작하였다. 이어 1930년대에는 근대 비판, 전통에 대한 향수, 신여성 혐오 등 일련의 정치학이 작동되는 과정 속에서 ‘현모양처’가 ‘전통’으로 재구성되고, ‘신사임당’은 현모양처의 대표적 여성이 되어갔다. 나아가 식민지 말기 신사임당은 ‘군국의 어머니’, ‘총후부인’의 이미지로 소비되기 시작하였다. 현모양처라는 젠더 모델이 처음부터 국가 / 민족의 여성 젠더에 대한 호명으로부터 출발하였다는 점에서 이의 식민주의적 전유는 처음부터 예정된 길이기도 했다. 결국 신사임당에 대한 담론적 재현은 당대의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연동되고 있었으며, 이는 여성들에게 젠더 역할을 강화하는 정치학이었다. 신사임당은 국가/민족 및 사회가 여성 젠더를 호명하는 방식에 따라 동일한 인물이 어떻게 다르게 재현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인물이었다. 더욱이 식민지시기 신사임당 담론은 ‘신여성’에 대한 혐오의 시선과 동전의 양면을 이루며 여성들에게 현모양처라는 젠더 역할을 강화하였다. 신여성 담론은 이후 1950년대 ‘아프레걸’ / ‘자유부인’ 담론, 그리고 현대의 ‘된장녀’ 담론으로 이어지며 지속적으로 여성의 성별 역할 분담을 강화하고 섹슈얼리티를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gender politics operating on Shin, Saimdang discourses through searching for variability of representation on her. The Image of Saimdang had undergone the transformation three times for about forty years from 1905 to 1945. Firstly, She was called the ‘educated woman’ who well trained her children at home as Lee, Yulgok’s mother in order to argue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women. Secondly, Saimdang encountered the discourses on ‘a wise mother and good wife’ and was invented as a traditional and ideal woman, that is a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1930s. There were historical contexts regarding the critiques of western modernity, nostalgic moods of past, and disgust of so-called ‘new woman’. Lastly, She was spent as the symbol of ‘militaristic mother’ and ‘woman in the rear ground’(銃後婦人). It was naturally colonialistic appropriation which stems from national demanding of women. These discoursive representations of Shin, Saimdang were connected with political context at that time and Those were the politics reinforcing gender roles. In short, the images of Shin, Saimdang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national or colonialist demanding. Futhermore, Shin, Saimdang dicourses together with ‘new women’ discourses have reinforced gender identities in colonial Korea. In particular, the discourses on ‘new women’ continued to ‘après-girl’ or ‘Madame Freedom’ dicourses in 1950s and ‘Doenjang girls’[soy bean paste girls] dicourses in contemporary days.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08-361-A00005).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사학회en_US
dc.subject신사임당en_US
dc.subject현모양처en_US
dc.subject여성교육en_US
dc.subject신여성en_US
dc.subject젠더 정치en_US
dc.subject군국의 어머니en_US
dc.subject총후부인en_US
dc.subjectShin Saimdangen_US
dc.subjecta wise mother and good wifeen_US
dc.subjecteducation of womenen_US
dc.subjectnew womanen_US
dc.subjectmilitaristic motheren_US
dc.subjectwoman in the rear grounden_US
dc.subjectgender politicsen_US
dc.title‘현모양처’의 상징, 신사임당: 식민지시기 신사임당의 재현과 젠더 정치학en_US
dc.title.alternativeShin, Saimdang, the Symbol of ‘a Wise Mother and Good Wife’ - the Representation of Shin, Saimdang and Gender Politics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22-
dc.relation.page155-190-
dc.relation.journal사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홍양희-
dc.contributor.googleauthorHong, Yang-Hee-
dc.relation.code2016017842-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RESEARCH INSTITUTE[S]-
dc.sector.departmentRESEARCH INSTITUTE OF COMPARATIVE HISTORY & CULTURE-
dc.identifier.pidhongyh-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