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1 0

Boundary Decisions for New Technology Acquisition: An Empirical Study on Korean SMEs in High-Tech Manufacturing Sector

Title
Boundary Decisions for New Technology Acquisition: An Empirical Study on Korean SMEs in High-Tech Manufacturing Sector
Other Titles
한국 기술집약적 제조업체의 신기술 취득방식에 관한 실증연구 : 거래비용이론과 자원기반이론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uthor
류주한
Keywords
Boundary Decision; Technology Acquisiti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ME; Transaction Cost Perspective; Resource-Based Perspective; Contingency Approach; 기술취득; 중소기업; 거래비용이론; 자원기반이론; 상황론적 접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대한경영학회
Citation
대한경영학회지, 2012, 25(5), P.2455-2483(29)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d how firms would determine their boundary decision for technology acquisition. Drawing on transaction costs (TC) and resource based (RB) perspectives, this study tested the impacts of specialized asset investment,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technological uncertainty on the acquisition method of new technology and the role of organizational capability as a moderator in those relationships. Using the sample of 271 Korean SMEs in high-tech manufacturing sector, this study found that the responding firms preferred to choose internal technology acquisition when they perceived high degree of specialized asset investment and technological uncertainty for the technology acquisition activity. However, such relationship varied when the firms possessed strong organizational capability in a way that the preference for internal technology acquisition is rather weaken for those firms. This study contributed that the TC perspective provides much powerful explanation to our research concern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RB perspective. Some of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also provided.본 논문은 국내의 기술집약적 중소 제조업들이 신기술 취득방식을 어떻게 결정하고 있는 가를 탐구하 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독자적 개발방식, 기술제휴를 통한 협력적 방식 등 다양한 신기술 취 득방식 중에서 최선의 방식은 무엇이며 이를 위한 고려요소는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서 거래비용이론에서 제시하는 개념을 중심으로 3개 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한편, 자원기반이론에서 제시하는 개념들이 조절변수로서 이들 가설과 어떠한 상 호작용을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3개의 변수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71 개의 전자·통신제품 관련 제조업체를 설문조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취득에 있어 자 산 특화적 투자가 요구될 경우와, 기술적 불확실성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 응답기업은 독자적 방식을 통 한 기술취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부적 역량이 높은 기업일수록 독자적 방식을 고집하 기 보다는 협력적 방식을 통한 기술취득에도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호 대립적 주장을 견지하던 거래비용이론과 자원기반이론을 통합적으로 적용할 경우 더 나은 설명력을 제시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아울러 어떠한 방식으로 신기술을 취득할 것인 가라는 고민을 가진 중소업체들에게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URI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1354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1046
ISSN
1226-223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INTERNATIONAL STUDIES[S](국제학부) > INTERNATIONAL STUDIES(국제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