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6 0

프로젝트 관리 조직의 효율성 분석

Title
프로젝트 관리 조직의 효율성 분석
Author
고중훈
Advisor(s)
김대철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과 확률변경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 SFA)을 이용하여, 전사적으로 프로젝트 관리 조직(project management office, PMO)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 또는 기관들을 중심으로 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두 기법에 의해 추정된 효율성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효율성 분석의 사후 분석으로써, PMO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PMO 효율성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87개의 PMO를 대상으로 효율성 분석을 하였으며, 불변규모수익(constant returns to scale, CRS) 모형에서는 완전 효율적인 DMU가 11개, 비효율적인 DMU가 76개로 나타났다. 가변규모수익(variable returns to scale, VRS) 모형에서는 완전 효율적인 DMU가 26개, 비효율적인 DMU가 61개로 나타났다. 확률변경분석(SFA)에서는 완전 효율적인 DMU는 0개로 나타났으며, 효율성이 0.8 이상인 DMU는 전체 PMO 중 47개(54%)로 집계되어 자료포락분석과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효율성 분석의 사후 분석으로써, PMO 효율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에서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관리 성숙도 및 비즈니스와의 전략적 연계 정도가 PMO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PMO 효율성이 기업의 다양한 재무적 성과들 중에서 자산수익률(return on assets, ROA) 향상,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ROI) 향상, 그리고 생산성(productivity)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관리 성숙도의 개선 및 비즈니스와의 전략적 연계 강화를 통한 PMO 효율성 개선은 프로젝트 성과 향상 및 기업의 재무적 성과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제어: 효율성,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확률변경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 SFA), 프로젝트 관리 조직(project management office, PMO), 프로젝트 성과(project performance), 기업 성과(corporate performa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1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0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TRATEGIC MANAGEMENT(전략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