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3 0

성수동 도시재생 지역 내 도시정비 계획 및 도시형 가로주택에 대한 연구

Title
성수동 도시재생 지역 내 도시정비 계획 및 도시형 가로주택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rban regeneration plan and street housing complex project in seongsu-dong urban renewal area
Author
이경수
Alternative Author(s)
Lee, kyung soo
Advisor(s)
노승범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지난 20세기, 한국의 근대화 사회는 효율을 중심적 가치로 가지고 발전하며 경제를 성장시켜온 사회였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기능별로 사물을 분리하고 일사분란하게 나아가는, 컨베이어벨트로 대표되는 포드시스템과 같은, 분리주의가 중심이었다. 이러한 효율 우선주의는 휴머니티를 잊고 있었다. 도시 계획의 차원에서 말하자면 본래 ‘사람이 사는 곳’ 인 도시가 가지고 있던 다양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혼합 되고 영향을 미치고 있던 장점을 탈락시켰다. 지난 근대사회의 결과물로서 탄생한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 환경과 인간성, 도덕성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단초는 바로 발전과정에서 제거해왔던 기존 지역의 커뮤니티 혹은 지역 정체성에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은 이제 저성장 시대에 들어섰고, 급성장 시대였던 과거와는 확연하게 다른 태도로 한국의 발전을 바라 봐야 할 것이다. 과거 민간자본의 대규모 투입을 통한 낙후된 지역의 도시 재개발은 다양한 경제효과를 창출하였다. 하지만 그런 과거의 무분별한 도시 재개발은 그 지역이 오랜 시간 만들어낸 독특한 지역적 특색을 훼손시켰다. 현대에 와서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도시 관리의 패러다임이 도시재개발에서 도시재생으로 바뀌고 있다. 많은 지역들이 재개발지역에서 도시재생지역으로 바뀜에 따라, 한국 특유의 도시재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한국 특유의 도시재생 뿐만이 아닌 특정 도시의 상황에 맞는 도시계획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재개발지역에서 재생지역으로 바뀌는 지역들이 공통으로 가지는 낙후된 환경을 어떻게 재생으로 이어가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것도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규모 필지로 한정되는 기존의 도시재생의 방법이 아닌 재생지역 내부에 존재하는 대규모 필지를 활용하여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개발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0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61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