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욱-
dc.date.accessioned2018-04-02T07:44:34Z-
dc.date.available2018-04-02T07:44:34Z-
dc.date.issued2011-11-
dc.identifier.citation인간연구 Journal of Human Studies. Jan 2016, 31, P.7-35en_US
dc.identifier.issn1229-6740-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99126-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54951-
dc.description.abstract현대 행동과학과 인간공학은 인간을 주어진 자극에 대해 적절한 행동 양상을 따라 반응하는 존재로 간주한다. 통제된 실험을 통해 이 행동 양상을 정확히 파악한다면 이를 활용하여 인간 행동을 적절한 자극을 통해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생각을 지지하는 많은 경험적 증거가 행동과학과 인간공학 연구를 통해 축적되었다. 이러한 두 실험과학의 인간관은 인간을 자율적 행위와 책임의 주체로 보는, 보다 널리 수용되는 인간관과 극명한 대조를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간관이 어떤 철학적, 과학적 배경에서 등장하게 되었는지를 사상사적, 연구방법론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연구가 잘 보여주듯이 행동과학과 인간공학의 인간관은 학습과 같은 제한된 연구주제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인간 전반에 대한 이해로 확장한 것이다. 이러한 확장이 정합적으로 이루어지고 과학적으로 생산적인 한에 있어 행동과학과 인간공학의 인간관은 방법론적 타당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인간관이 실험과학적으로 의미있는 지식을 생산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인식론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적 확장의 인식론적 설득력은 분명 실험과학의 인간관을 존재론적으로 수용할 만하게 해주지만, 그렇다고 현대 실험과학의 인간관만이 유일하게 올바른 인간관임을 함축하는 것은 아니다.Modern Behavioral Science and Human Engineering model the human as an entity that responds to specific stimulus in some predictable behavioral patterns. This implies that if we are able to discover these patterns in controlled experimental settings, we can employ at least some of this knowledge to modify human behavior in a particular environment. Studies in behavioral science and human engineering have generated some successful results this respect. Still this model of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obviously conflicts with more commonly accepted view of human as an autonomous subject capable of free choice and who are thus fully responsible for their own actions This paper examines how this particular model has evolved historically, specific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research methodology. As a prime example of this model, Pavlov’s research on conditioning shows that this model of the human have developed as a result of methodological extension from a specific explanation of rather narrow human capabilities such as learning. As long as this extension is consistent with current empirical knowledge and productive in scientific knowledge production, scientists are methodologically and epistemologically justified to employ this model in their research. The ontological acceptability of this model however is another matter. The legitimacy of this model does not contradict with the existence of other equally legitimate models from different perspectives.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327-A00142).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en_US
dc.subject자극en_US
dc.subject반응en_US
dc.subject조절en_US
dc.subject행동과학en_US
dc.subject인간공학en_US
dc.subjectStimulusen_US
dc.subjectResponseen_US
dc.subjectModificationen_US
dc.subjectBehavioral Scienceen_US
dc.subjectHuman Engineeringen_US
dc.title자극에 반응하고 조절되는 인간: 인간공학과 행동과학의 인간론"en_US
dc.title.alternativeStimulus-Respondent and Modifiable Human : Human Model of Behavioral Science and Human Engineering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page33-42-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Sang Woo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HUMANITI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PHILOSOPHY-
dc.identifier.piddappled-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PHILOSOPHY(철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