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 | 인류세 시대에 필요한 지속 가능한 발전 맥락의 과학교양교육 : 한양대학교 ˂인류세 시대를 위한 미래인문학˃ 과목의 주제 구성과 운영 | 이상욱 |
2020-12 | 데카르트 철학에서 『진리탐구』의 위상 | 이현복 |
2020-11 | 송휘종 『도덕경』 어주의 ‘무위’ 관념 연구 | 김태용 |
2020-11 | 데카르트의 의식 개념 | 이현복 |
2020-09 | 자연의 빛:데카르트와 모리스 | 이현복 |
2020-06 | 인공지능 시대, 창작 개념의 재검토 | 이상욱 |
2020-02 |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의사소통과 인공지능 -차별 배제와 공정 지향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이상욱 |
2020-02 | 수암 권상하 문하의 심성 논쟁과 호학의 형성 | 김용헌 |
2020-01 | 인문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 이상욱 |
2020-01 | 인공지능과 실존적 위험 ―비판적 검토― | 이상욱 |
2019-11 | 「해로」·「유로」의 한비자 법치사상 연구 | 김태용 |
2020-01 | 인공지능과 인간의 실존적 위험 - 비판적 검토 | 이상욱 |
2019-07 | 유네스코 기후변화 윤리원칙 선언: 함의와 쟁점 | 이상욱 |
2019-06 | 인공지능의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가능성: 쉬운 문제와 어려운 문제 | 이상욱 |
2018-11 | 『묵자』의 기술관 연구 | 김태용 |
2018-04 | 감정과 의식: 신경과학과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 | 이상욱 |
2018-03 | 論離散者的他者性-以《莊子》不全形者的他者性為主 | 김태용 |
2018-02 | 인공지능 시대 교사의 역할-국어교사의 직무 사례를 중심으로- | 이상욱 |
2017-11 | 19세기 한국유학자 홍석주의 노자관 연구- 실용주의적 학문관을 중심으로 | 김태용 |
2017-11 | 명태조 『도덕경』 어주의 ‘무위’관념 연구 | 김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