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형심-
dc.date.accessioned2018-03-30T08:34:35Z-
dc.date.available2018-03-30T08:34:35Z-
dc.date.issued2014-06-
dc.identifier.citation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2014,28(2),p.77 - 103en_US
dc.identifier.issn1229-0653-
dc.identifier.urihttp://uci.or.kr/G704-000424.2014.28.2.002-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5448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과 희망이론에 근거하여, 인간의 심리적 기본욕구인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만족이 희망적 사고를 매개로 하여 학습관여를 예측한다는 연구모형을 상정하고, 이들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는 중학생 513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학습상황에서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만족과 희망적 사고, 학습관여 수준을 자기보고식으로 평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가지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성) 만족이 학습관여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고려했음에도, 학습자의 희망적 사고는 자율성 욕구의 만족과 학습관여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고, 유능성 욕구 만족과 학습관여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만족과 학습관여 간의 관계를 파악할 때 희망적사고와 같은 심리적 변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결정이론과 희망이론을 연계하는 이론적 시사점을 지니며 교육현장에서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만족과 희망적 사고의 중요성을 재조명해준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en_US
dc.subject자율성 욕구en_US
dc.subject유능성 욕구en_US
dc.subject희망적 사고en_US
dc.subject학습관여en_US
dc.title중학생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만족,희망적 사고, 학습관여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희망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Hopeful Thinking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28-
dc.relation.page77-103-
dc.relation.journal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dc.contributor.googleauthor안유진-
dc.contributor.googleauthor장형심-
dc.relation.code2014001602-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EDUCATION[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EDUCATION-
dc.identifier.pidjanghs-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