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9 0

예술융합 중심 초등학교 STEAM 교육의 효과성 -미술교과의 학습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Title
예술융합 중심 초등학교 STEAM 교육의 효과성 -미술교과의 학습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Efficaciousness of the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Education for Elementary, Focused on Convergence in Arts - Focusing on Student Engagement in Art Subject -
Author
현은령
Keywords
STEAM; STEAM Education; Convergence in Arts; Integrating Education Program
Issue Date
2014-03
Publisher
한국디자인지식학회 /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Citation
디자인지식저널,2014년 29권,29호, pp.333 - 342
Abstract
복잡해진 사회와 기능주의적 성향의 대두로 인해 각 학문은 고유의 전문성을 중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모든 영역을 넘나들며 활동했던 과거의 과학?예술가들에 비해 그 분야의 지식의 깊이는 깊어졌지만, 세분화된 학문 영역간의 ‘틈(gap)’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틈을 메우고 나아가 상호촉진과정을 통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교육은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을 통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STEAM교육은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 창의적인 사고발달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이 인정되고 있지만 교육 프로그램의 부족으로 현장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특히 과학·기술관련 프로그램에 비해 예술 융합 중심의 프로그램은 그 수가 현저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6학년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은 예술에 방법론적 도구를 제공하고, 예술은 과학에 창의적 모델을 제공하며 공진화하게 되는 융합특성의 원리에 기반 하여 사고와 재현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나아가 PISA 2006에서 사용한 측정지를 활용하여 미술교과의 성과인식을 중심으로 그 효과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인간, 가치, 자원, 환경, 사용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활용 할 수 있는 지혜를 예술융합 중심의 STEAM 교육을 통해 습득 할 수 있도록 시도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디자인을 비롯한 예술교육의 가치를 확산시켜 우리나라의 창의적 인재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Experts on each field of study lay great stress on their own professionalism caused by complicated society and functional propensity. From this perspective, although experts on each field of studies have deeper knowledge about their professional field, the gap between each filed is arisen. Therefore, it need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ed individuals through supplementing the gap. The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program has the aim to cultivate creative talented individuals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with science,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and technology. However, nowadays, although STEAM program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program to develop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 and a helper to improv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its educational programs are insufficient and are not used to apply in the practical field of education. Especially, the number of the programs focused on convergence in arts is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e programs focused on converge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development provides general comprehension and the ability of application about humans, values, materials, environments and us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is program will expand the value of design and art education and attribute to cultivate creative talented individuals.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372136http://hdl.handle.net/20.500.11754/48637
ISSN
1975-2946
DOI
10.17246/jkdk.2014..29.03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