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9 0

Cerebellar Atrophy in Patients with Subcortical-Type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Title
Cerebellar Atrophy in Patients with Subcortical-Type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Author
이종민
Keywords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Lacunes; Cerebellar atrophy; Subcortical vascular MCI
Issue Date
2013-02
Publisher
Springer
Citation
CEREBELLUM -BRUXELLES-, Feb 2013, 12(1), P.35-42
Abstract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 role of the cerebellum extends into cognitive regulation and that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SVaD) can result in cerebellar atrophy. However, there has been no evaluation of the cerebellar volume in the preclinical stage of SVaD. We aimed to compare cerebellar volume among patients with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and subcortical vascular mild cognitive impairment (svMCI) and evaluate which factors could have contributed to the cerebellar volum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355 patients with aMCI, svMCI, Alzheimer's disease (AD), and SVaD. Cerebellar volumes were measured using automated methods. A direct comparison of the cerebellar volume in SVaD and AD groups showed that the SVaD group had a statistically smaller cerebellar volume than the AD group. Additionally, the svMCI group had a smaller cerebellar volume than the aMCI group, with the number of lacunes (especially in the supratentorial regions) being associated with cerebellar volume. Cerebellar volumes were associated with some neuropsychological tests, digit span backward and ideomotor apraxi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erebellar atrophy may be useful in differentiating subtypes of dementia and the cerebellum plays a potential role in cognition.최근 연구를 통해서 소뇌가 단순히 운동조절 기능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의 조절과도 연관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에 비해서 혈관성 치매 환자들이 소뇌 위축이 더 현저하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러나 치매의 전단계 즉,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에서의 소뇌 위축에 관한 연구는 없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피질하 혈관성 경도인지장애(subcortical vascular mild cognitive impairment, svMCI) 및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환자들에서 소뇌 부피를 비교해보고 어떠한 인자들이 소뇌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55명의 알츠하이머 치매, 피질하 혈관성 치매,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피질하 혈관성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소뇌 부피는 자동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이전의 발표처럼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에 비해서 혈관성 치매 환자들이 소뇌 위축이 더 현저하였다(p=0.003).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소뇌 부피를 비교했을 때에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에 비해 피질하 혈관성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소뇌 부피가 현저히 줄어든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소뇌 위축과 관련있는 인자에 대한 분석 결과 열공(lacune) 개수, 특히 천막위(supratentorial) 열공의 개수가 소뇌 부피의 감소와 연관이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혈관성 치매에서 알츠하이머 치매보다 소뇌 위축이 현저하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가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도 적용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소뇌 위축이 열공과 큰 관련이 있고 열공의 개수 뿐 아니라 위치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URI
http://link.springer.com/article/10.1007%2Fs12311-012-0388-0http://hdl.handle.net/20.500.11754/44831
ISSN
1473-4222
DOI
10.1007/s12311-012-0388-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ELECTR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전기·생체공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