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2 0

통합적 인지와 창의적 사고의 도구 - 21세기 창의성 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 -

Title
통합적 인지와 창의적 사고의 도구 - 21세기 창의성 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 -
Other Titles
Integrated Cognition and Creative Thinking Tools: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Discourse of Creativity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21세기 창의성 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
Author
김선아
Keywords
창의성 교육; 미술교육; 통합적 인지; 창의적 사고; Creativity education; Art education; Integrated cognition; Creative thinking
Issue Date
2011-11
Publisher
한국미술교육학회. / Korea Art Education Association.
Citation
미술교육논총 25.3 (2011): 47-70.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교육계 전반에서 논의되고 있는 창의성의 성격을 고찰하고, 미술교육을 통하여 개발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의 특성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미술교과에서의 창의성 개념을 재고찰하고 창의적 사고 개발을 위한 미술의 역할을 명료화함으로써 변화하는 시대에 교육적 대안으로서 미술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다시 한 번인식시킬 수 있는 논의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현재의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미래 사회에 대한 전망에 기초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미술교육에서 창의성의 의미를 과거와 현재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논의하였다. 둘째, 지각, 감각, 정서 등 통합적 인지의 측면에서 상상과 창조의 성격을 고찰하고, 미술과 시각적 사고가 어떻게 창의성과 연관성을 가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앞의 논의를 토대로 지각, 유추, 변형, 추상화, 통합의 다섯 가지 요소를 통하여, 현실에서 출발하여 창조의 방향으로 사고를 이끌어갈 수 있는 인지적 도구들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과 창의성이 가지는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공통의 언어를 도출하여 창의성에 관한 간학문적인 담론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3382179
ISSN
1229-044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