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수열-
dc.contributor.author정회영-
dc.date.accessioned2017-11-29T02:28:57Z-
dc.date.available2017-11-29T02:28:57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3322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334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연암 박지원의 글에서 드러나는 독서관과 독서 방법을 분석하여 박지원의 독서론이 현대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밝히고, 비판적 문식성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 및 특징들을 정리하였으며, 국어교육 내에서 수용되고 있는 비판적 문식성 담론의 한계 및 실천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이후 독서에 대한 박지원의 사유와 실천이 담긴 여러 편의 글을 분석하여 박지원의 독서론이 갖는 특징들을 도출하고, 이러한 특징들이 비판적 문식성 교육에 주는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비판적 문식성에서는 언어를 언어 생산자의 관점이 반영된 것일 뿐만 아니라, 세계를 변화시키는 힘이 있는 것으로 전제한다. 따라서 비판적 문식성에서는 독자로 하여금 텍스트 표면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텍스트의 목적, 필자의 의도, 관점 등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권력의 문제에 집중하도록 하며, 비판적 자세를 견지한 채 권력의 문제를 성찰하고 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한다. 즉, 비판적 문식성은 사회 · 문화적 맥락 안에서 언어에 내재되어 있는 지배 담론의 권위 혹은 가치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의미 구성 과정뿐만 아니라 삶의 맥락 안에서 특정한 가치나 지식을 생산해내는 언어활동 역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교육 담론에서는 학습 내용의 실제성을 확보하는 한편 학습자들의 언어활동이 반성적이고 실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국어교육 내에서도 비판적 문식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문식성의 실천과 학습자들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교육 논의들을 끊임없이 제안하고 있는데, 비판적 문식성 교육에 대한 이 같은 관심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별 성취기준을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었다. 하지만 비판적 문식성이 내포하고 있는 정치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측면들로 인해 국어교육 내에서 이루어지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은 언어를 대상화하여 필자의 의도나 관점을 추론하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해보는 수준의 ‘이해’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뿐, 학습자들의 실제 삶과 연계한 언어활동의 실천적 성격은 강조되고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박지원의 독서론을 토대로 현대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이 지향하는 문식성 실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Ⅲ장과 Ⅳ을 통해 이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Ⅲ장에서는 박지원이 실천한 독서관과 독서 방법의 본질 및 특징에 대해 논하였다. 박지원에게 있어 참된 독서란 즉사진취(卽事眞趣), 즉 내 눈앞의 현실에 참된 정취를 읽어내는 것이었다. 따라서 그는 방안에 박혀 문자를 읽는 행위에서 벗어나 눈앞에 마주한 사물과 현실을 꼼꼼하게 살피고 그 안에 담긴 비의(秘義)를 발견하기 위해 힘썼다. 독서에 대한 박지원의 이 같은 생각은 문자 기호를 기존과는 다르게 보려는 그의 언어관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문학 전통에서 문자란 성현이나 현자의 정신세계를 담는 도구이자 도를 구현해주는 수단이었다. 하지만 박지원은 기존의 문자 기호가 갖는 모순을 지적하며, 본래의 정수를 잃어버린 기호 문자를 대신하여 눈앞의 자연 사물, 현실을 읽자고 주장하였다. 눈앞의 현실, 자연 사물이 한 편의 글이고 문장이 되자 박지원은 자신이 마주한 현실, 글 너머의 세계에 담긴 비의(秘義)를 읽어내고자 노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그만의 독특한 독서 방법들을 활용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박지원의 독서 방법을 크게 세 가지, 즉 권형(權衡)의 독서 방법과 허심(虛心)의 독서 방법, 득중(得中)의 독서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이때 박지원이 강조한 이 세 가지 독서 방법은 단순히 책의 의미를 올바르게 읽어내는 것을 넘어 세계를 올바르게 읽어낼 수 있는 힘을 기르게 해주는 방법들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세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자 노력한 그의 인식론과 깊은 관련성을 맺는다고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박지원의 세 가지 독서 방법을 박지원의 「백이론(伯夷論)」 상(上)편과 황순원의 「너와 나만의 시간」 비평문, 수전 손택의 󰡔은유로서의 질병󰡕에 적용하여 박지원 독서론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박지원의 독서론이 비판적 문식성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밝혔다. 세 편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박지원의 독서론이 독서자의 삶, 세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문제들에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고 대응하는 사회 ·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언어활동의 측면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이러한 박지원의 독서론이 갖는 측면들이 현재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삶의 맥락과의 연계 속에서 총체적인 언어활동을 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줌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박지원의 독서론이 갖는 특징들을 비판적 문식성의 층위에서 살펴봄으로써 박지원의 독서론이 현대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밝히고,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 연구이다. 박지원의 언어관과 인식론을 토대로 그의 독서론이 갖는 본질과 특징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특징들이 비판적 문식성의 측면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박지원의 독서론이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가치가 있음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박지원의 독서론에 기반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ritic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Reading Theory of Park Ji-w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정회영-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ung HoeYo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국어교육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