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석윤-
dc.date.accessioned2016-07-14T04:25:41Z-
dc.date.available2016-07-14T04:25:41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citation상업교육연구, v. 29, NO 1, Page. 215-236en_US
dc.identifier.issn1229-8867-
dc.identifier.uri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48242-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220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미국 연구에서 소개된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미래 이익예측 모형의 유용 성을 국내 자본시장에서 검증하는 데 있다. 국내자본시장과 같이 재부 분석가의 이익예측이 미국과 같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대체적인 방법으로 모형에 따라 도출된 이익이 대체적으로 활 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Hou et al.(2012) 에서 제시한 이익예측 모형을 이용하여 차기(t+1)와 차차기(t+2)의 이익 예측 치를 구한 다음, 국내 재무 분석가의 이익예측 치와 비교하여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국내자 본시장에서도 횡단면적 모형을 활용한 이익예측이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유용할 수 있 음을 확인하였으며 둘째, 횡단면 모형을 이용하여 구한 차기(t+1)의 이익 예측 치는 재무 분석가의 차기(t+1) 예측보다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편의가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차차기(t+2)의 이익 예측 모형에 나온 미래 이익예측 치는 정확도와 편의 면에서 재무 분석가의 차차기(t+2) 예측치 보다 우 월함을 보여 주었다. 셋째, 비 기대이익에 대한 이익 반응 계수를 비교해 본 결과, 모형을 통한 이 익 예측치를 사용한 비 기대이익에 대한 이익반응 계수가 재무 분석가의 예측치를 사용한 비 기대 이익에 대한 반응 계수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을 이용한 예측치가 국내 자본시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2년 또는 3년 후의 중·장기 이익예측정보를 필요로 하는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utilize the cross-sectional earnings model to predict future earnings of firm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Following Hou et al. (2012), We generate one- and two-year-ahead future earnings from the cross-sectional model using a few of accounting variables to forecast future earnings for Korean firm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non-financial public firms in the Korean stock market from 2002 to 2010.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based forecasts vs. analysts’ forecasts in terms of accuracy and bias. We find that the model-based forecasts are less accurate than analysts forecasts but they are less biased than analysts forecasts for one-year horizon. For two-year horizon, the model-based forecasts are more accurate and less biased than analysts’ forecasts. We also find a higher level of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for the model-based forecasts than analysts forecasts in the association framework. This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model-based earnings forecasts are useful proxies for market expectations of future earning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earnings forecasts from the cross-sectional model can be useful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where analyst coverage is limited.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상업교육학회en_US
dc.subjectForecasting Modelsen_US
dc.subject횡단면적 분석en_US
dc.subject이익예측 모형en_US
dc.subject재무 분석가 이익예측en_US
dc.subjectEarnings Forecastingen_US
dc.subjectAnalyst Forecastsen_US
dc.title미래순이익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횡단면적 모형과 재무 분석가 예측 비교를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Future Earnings Forecasting Model : Comparisons between the Model-based and Analysts Forecast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29-
dc.relation.page215-236-
dc.relation.journal상업교육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성희-
dc.contributor.googleauthor정석윤-
dc.contributor.googleauthor차상권-
dc.relation.code2015040432-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BUSINESS[S]-
dc.sector.department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dc.identifier.pidsukyoo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S](경영대학)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