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0

조선 중·후기 정방형 평면 불전의 상부가구 특징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 중·후기 정방형 평면 불전의 상부가구 특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Structure of Square Flat Buddha Halls in the Middle and Later Periods of the Joseon Dynasty
Author
김지훈
Alternative Author(s)
Kim Ji Hun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왜란과 재란 등 사회적 혼란을 겪은 후에 중창된 조선 중·후기 불전들 속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한 정방형 평면 불전을 대상으로 하여 상부가구의 구성을 고찰해 지붕의 형태를 결정짓는 요인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분석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정방형 평면이라는 용어를 규명하여 현존하는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시·도지정문화재 중 이에 합당한 대상을 도출하였다. 분석에 들어가기에 앞서 장방형 평면 불전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했던 정방형 평면 불전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 불교의 역사적인 흐름에 대한 개괄적인 고찰과 발굴된 사지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후 9동의 정방형 평면 불전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서로 상호 교차해 비교·분석하는 방법으로 고찰을 진행하였다. 과거 조선 시대에 억압을 받았던 불교가 점차 위축됨으로 인해 외부공간에서 행해졌던 행사와 더불어 각종 행위 등이 간소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실내공간에서 진행되게 되었다. 이에 불전의 위계에 따라 규모를 달리하는 불전에서는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불단의 위치를 점차 배면 벽체와 가까이 배치하였고 이러한 불단배치의 변화에 따라 내부공간은 중심형, 이주형, 후치형, 무불단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불단배치에 따른 평면의 변화는 주망의 배열에도 영향을 주는 모습을 확인해 볼 수 있었는데, 중심형과 이주형, 무불단형의 경우에는 주로 규모가 큰 불전에서 사용되어 내진주를 배치한 모습을 보이며 내진주의 높이에 따라 상부가구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이 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후치형의 경우에는 주로 작은 규모의 불전에서 사용되어 외진주만을 사용해 불전을 형성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공포의 양식에 따라 평방을 설치해 상부 하중을 외진주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지 혹은 간접적으로 전달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불단배치에 따른 평면형식은 주망배열과 연관이 있었고, 주망배열 또한 상부가구와 상호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불단배치와 주망배열로 인한 상부가구가 지붕의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방형 평면 불전을 지붕형태에 따라 분류해 고찰해 본 바 첫째, 추녀의 설치 여부에 따라 맞배지붕과 모임지붕, 팔작지붕으로 나눠볼 수 있었다. 둘째, 추녀의 뒤뿌리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모임지붕과 팔작지붕이 선택적인 요소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면 1칸에 측면 1칸 혹은 2칸인 경우에는 덧부재가 설치되지 않아 내진고주의 기능이 필요하지 않지만, 정면 3칸에 측면 3칸의 모임지붕인 경우 덧부재가 올라가기 때문에 상부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아 전달할 수 있는 내진고주가 배치되어야 하는 구조로 인해 주망배열이 이고주형일 경우 모임지붕과 팔작지붕을 선택적으로 택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붕형태 또한 상부가구, 주망배열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반대로 지붕형태에 따라 내진주의 직경과 높이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분석대상 불전의 수량 등의 한계로 인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기에는 여전히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향후 정방형 평면과 다른 평면의 불전 간 상호비교를 통해 지붕구조의 변화양상을 보다 체계화한다면 불전 지붕의 형식에 대한 이해의 폭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 of roofs in relatively understudied square flat Buddha halls constructed during the middle and later periods of the Joseon Dynasty following societal upheavals such as invasions and unrest. The focus is on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the upper structure composition within these halls. Clearing the terminology of 'square flat-plane', appropriate cultural heritage sites fitting this criterion were identified for analysis. Prior to the analysis, groundwork was laid for researching Square Flat Buddha Halls, which have relatively lacked research compared to rectangular flat-plane structures. To establish the foundational groundwork for studying Square Flat Buddha Halls, an overview of Buddhism's historical progression and an examination of temple archaeological sites were conducted. Subsequently, an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nine square flat-plane Buddhist halls, categorizing them into different types for comparative analysis. As Buddhism gradually diminished due to oppress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various rituals and activities, previously conducted outdoors, simplified and naturally transitioned into indoor settings. Consequently, within the hierarchy of these halls, alterations in the positioning of the Buddhist altar toward the rear wall were observed to secure interior space. These alterations in altar placement resulted in classifications into central, migratory, posterior, and altar-less types based. The changes in altar placement were found to influence the arrangement of the pillars. In the central, migratory, and altar-less types, typically utilized in larger-scale square flat buddha Halls, inner support pillars were installed. These pillars showed a direct or indirect association with the height of the inner supports and their relation to the upper structure. However, in the posterior type, frequently observed in smaller square flat buddha Halls, only outer support pillars were utilized, shaping the hall based on eave supporter. Examining whether the upper structure directly or indirectly transferred its load to the outer pillars highligh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tar placement and spatial design. The arrangement of the pillars appeared interconnected with altar placement, indicative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upper structure. To ascertain the influence of altar placement and pillar arrangement on the upper structure affecting the roof form in square flat-plane Buddhist halls, an investigation based on roof shapes was conducted: First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ngle rafter divided the roofs into gable, hipped, and hipped-and-gabled forms. Secondly, the positioning of the hip rafter rear support became a selective factor in determining hip and hipped-and-gabled roofs. In smaller square flat-plane Buddhist halls, the absence of additional elements in the upper structure negates the need for inner pillars. However, in large-scale square flat-plane Buddhist halls with hipped roofs and hipped-and-gabled roofs, the presence of additional elements in the upper structure necessitates the need for inner pillars. Thus, the presence of inner pillars confirms the optional use of hipped roofs and hipped-and-gabled roofs. Roof forms were observed to be influenced by the upper structure and pillar arrangement, while conversely, it was confirmed that roof forms serve as factors determining the diameter and height of the inner pillars. Ultimately,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still contain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due to constraints in the quantity of analyzed halls. To further enhance the comprehension of roof structure forms in Buddhist halls, a mor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variations in roof structures could be achieved through futur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square flat-plane halls and halls of different architectural styles. This would potentially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roof configurations in Buddhist hall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493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3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