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 0

연구개발 인력의 비공식 네트워크 활용과 심리적 안전감에 관한 연구

Title
연구개발 인력의 비공식 네트워크 활용과 심리적 안전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 of Inform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Safety of R&D Personnel
Author
양진우
Alternative Author(s)
Jinwoo Yang
Advisor(s)
최경현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With recent advancements in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securing creative R&D personnel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increased. This is because the creative knowledge of R&D personnel forms the core technologies of companies, which serve as the foundation for gaining a competitive edge. However, it's not merely the expansion of R&D personnel that matters; the training and management to enhance creativity and expertise are equally crucial. As such, this study focuses on leveraging inform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safety to optimize R&D organizational management. R&D personnel handle complex and specialized knowledge tasks, often solving problems primarily through personal interaction Consequently, informal networks become a highly effective means for exchanging knowledge among R&D personnel. Moreover, fostering psychological safety not only encourages learning but also fosters innovation significantly impacting R&D performance.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utilization of informal networks by domestic companies and ident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informal networks. Measures were proposed for the activation of psychological safety and informal networks. Analys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initially confirms differences in informal network characteristics between domestic R&D and non-R&D personnel as well as differences based on company size. In addition, an exploration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mensions of communication, advisory, and trust networks was undertaken. The analysis revealed no discernible disparity between R&D personnel and non-R&D personnel. However when scrutinizing the data by company size, a conspicuous distinction emerged, particularly between small and large companies. Notably, communication, advisory, and trust networks exhibited a noteworthy expansion in larger enterprises compared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manifesting both a sizable increase and heightened frequency of access. Establishing a research model rooted in influencing factors of informal networks, form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safety from prior studi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safety was validated.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safety of R&D personnel significantly influenced formal networks and performance while the psychological safety of non-R&D personnel significantly affected informal networks and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is an amended research model was formulated by incorporating control variables encompassing company size, organizational position and industry leading to the substantiation of alterations in the path coefficient. In contrast to scenarios lacking a control variable the psychological safety of R&D personnel and the notable influence of informal networks were affirmed. Nonetheless due to the inadequacy of the model's fit upon the application of the control variable supplementary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reinforce the research findings. The suggested measures are aimed at fostering the activation of psychological safety and informal networks potentially enhancing their practical implementation in the field. This study contributes meaningfully by fostering an environment for R&D personnel underlining the potential for inform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safety to serve as effective tools in managing R&D operations. It also raises awareness regarding the role of informal networks in corporate settings.|최근 기술 발전이 고도화되면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창의적인 R&D 인력 확보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R&D 인력의 창의적인 지식이 기업의 핵심기술을 만들고, 핵심기술이 경쟁우위 선점의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R&D 인력의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창의성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R&D 인력의 양성과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D 인력관리를 위한 R&D 조직 운영 방안으로 비공식 네트워크와 심리적 안전감에 주목하였다. R&D 인력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지식 업무를 수행하며 주로 개인적 접촉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R&D 인력의 지식 교류 및 이전에 비공식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은 학습을 통한 새로운 지식의 출현과 혁신을 이끌고 R&D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배경에 근거하여, 국내 기업의 비공식 네트워크 활용 수준을 분석하고 비공식 네트워크와 심리적 안전감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심리적 안전감 및 비공식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국내 R&D 인력과 비R&D 인력의 비공식 네트워크 특성 차이, 기업 규모별 특성 차이 등을 통해 비공식 네트워크 활용 현황을 확인했다. 더불어 의사소통, 조언, 신뢰 네트워크의 규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R&D 인력과 비R&D 인력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기업 규모별 비교에서 소기업과 대기업의 극명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의사소통, 조언, 신뢰 네트워크 모두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일수록, 접속 빈도가 잦을수록 규모가 커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비공식 네트워크, 공식 네트워크, 심리적 안전감의 영향 요인을 바탕으로 연구모델을 수립하고 비공식 네트워크와 심리적 안전감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R&D 인력의 심리적 안전감은 공식 네트워크와 성과에, 비R&D 인력의 심리적 안전감은 비공식 네트워크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이에 기업 규모, 직급, 업종의 통제변수를 적용하여 수정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경로계수 변화를 확인해보았다. 통제변수가 있을 때는 그렇지 않았을 때와 달리 R&D 인력의 심리적 안전감과 비공식 네트워크의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통제변수를 적용하였을 때의 모형의 적합도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가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근거로 심리적 안전감 및 비공식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본 연구는 비공식 네트워크에 대한 기업의 인식 고취와 함께 비공식 네트워크와 심리적 안전감이 R&D 조직 운영관리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고 R&D 인력을 위한 유기적인 환경 마련에 이바지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236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9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 INNOVATION MANAGEMENT[S](기술경영전문대학원) > TECHNOLOGY MANAGEMENT(기술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