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0

基于LDA模型下的朝鲜王朝-明朝外交记录研究

Title
基于LDA模型下的朝鲜王朝-明朝外交记录研究
Other Titles
LDA모형에 의한 조선왕조-명조시기의외교기록연구--《조선왕조실록》과《명실록》을중심
Author
장형월
Alternative Author(s)
Zhang Xinyue
Advisor(s)
왕하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摘要《朝鲜王朝实录》和《明实录》都是实录类型的史料。《明实录》中有1950条朝鲜相关记录,《朝鲜王朝实录》中有22695条明朝相关记录。本论文实际利用了《朝鲜王朝实录》1 7355条史料、《明实录》2123条史料、《满清实录》931条史料,实际利用中筛选了重复条目,并添加了其他未涉及外交的部分条目进行辅助解释。内容上以朝贡外交为主线,两国之间政治、经济、文化、思想、军事以及民间的往来为支线,记载详细丰富,故而两部实录是研究明朝-朝鲜外交的重要资料。 但目前学界关于两部实录的全文本比较研究成果还较少,主要集中在朝贡外交和诗赋外交方面,总体缺乏全面比较的研究成果。而全面比较面临的最大问题是两部实录的体量较大,由于史料繁多,此前学者多从关键词入手进行检索,但关键词的选择往往受研究者的观点影响,因而可能会导致一些相关的史料,由于关键词选取偏差而被忽略。LDA模型恰好具有分析庞大文本的特点。本论文将使用LDA话题模型对两部实录中的外交记录进行全文本对照分析。在具体操作上,首先将明朝和朝鲜的外交往来条目按时间分为四个阶段,再利用LDA模型将两部实录四个阶段的史料分别进行关键词筛选,之后生成话题模型。从关键词和话题模型当中,可以发现两部实录记载方式、立场和角度的异同,再利用话语分析方法进行异同的分析。从全文本的比较分析当中发现,两部实录的外交记录大体呈现出了四个特点,首先是互补性,主要体现在《明实录》当中一些缺失部分可以由《朝鲜王朝实录》进行补充,比较典型的例子是有关“建文帝”的外交记录互补。其次是一致性,从词汇来看,发现两个国家外交中记录较多,且贯穿始终的话题就是朝贡相关话题。从话题中看,两部实录话题一致性最高的时期是1403-1591年。这一期间对于同一件事情,基本都能在两部实录当中找到相关记载。只是记载的角度和立场会有一些差异。关于对立矛盾性,实际上对立和矛盾的条目并不只是出现在某一个时期,每一个时期都会存在对立或矛盾的事件,只是1592-1598年间,两部实录记载对立和矛盾的情绪较突出。从四个阶段的主要外交往来话题当中,还发现了明朝-朝鲜官方往来背后的一些政治、经济利益上的需求,以及朝鲜对明朝文化认同、发展和实践。除了内容上的分析以外,本论文依托关键词的比较,列出了《朝鲜王朝实录》中史臣 261 记录和电子化过程中的差误,供相关研究参考。 关键词:《朝鲜王朝实录》、《明实录》、外交记录、比较研究、LDA模型|국문요지《조선왕조실록》과 《명실록》은 둘 다 실록 유형의 사료이다. 《명실록》에는조선 관련 기록이 1950건,《조선왕조실록》에는 명조 관련 기록이 2만2695건이있다. 이 논문은 실제로 《조선왕조실록》 1만7,355조, 《명실록》2,123조, 《만청(滿清)실록》931조의 사료를 활용하였으며, 실제 활용에서 중복되는 항목을선별하고, 외교와 관련되지 않은 부분의 항목을 추가하여 보조적으로 해석하였다. 주요내용은조공(朝貢)외교를 중심으로, 양국 사이의 정치, 경제, 문화, 사상, 군사및민간왕래등을 상세하고 풍부하게 기록하고 있어 양국의 교류 현황을 연구하는데중요한기여를 하고 있다.그러나 두 실록 전문에 관한 학계의 비교연구 성과는아직까지깊게진행되지 못했고, 연구 내용도 조공(朝貢)외교와 시부(詩賦)외교에집중돼있어, 전면적인 비교연구는 큰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원인이있는데, 먼저 전면적인 비교연구가 직면한 최대 문제는 두 실록의 양이 너무 많아작업이쉽지않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대부분 키워드로 검색하기 때문에 비교군을찾기는쉬워졌으나, 키워드의 선택은 연구자의 성향과 관점에 영향을 크게 받기때문에편향성문제를 안고 있다.LDA 모델은 바로 이런 방대한 텍스트를 분석하면서도위에서언급한문제를 상당히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두 실록중외교기록에 대해 LDA 화제모델을 사용해 텍스트를 대조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명조와조선의외교항목을 시기에 따라 4개 단계로 나누고, LDA 모델로 각 키워드를선별한후화제모델을 만든다. 키워드와 화제모형에서는 두 실록의 기록방식과양국의입장차이를 발견할 수 있으며, 텍스트 분석방법을 재이용하여 대조군 사이의유사점과차이점을 분석한다. 네 시기의 두 실록의 외교기록을 보면 크게 네 가지 특징이나타나는데, 첫째는 상호보완성이며, 주로 《명실록》의 일부 누락된 부분을 보완하는것으로나타나는데, 전형적인 예는 "건문제(建文帝)"에 관한 외교기록의 상호보완성, 둘째는일치성, 어휘를 보면 두 나라 외교에서 일관성이 있는 화두가 조공(朝貢)에관한 화두이며, 조공(朝貢)에 관한 화두가 두 실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비교적크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임진전쟁(壬辰戰爭) 때만 해도 주요 외교 왕래는아니었지만전쟁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의 조공(朝貢)왕래는 계속됐습니다.주제별로보면두실록의 주제 일치도가 가장 높았던 시기는 1403-1591년입니다.이 기간동안동일한문제에 대해 기본적으로 두 개의 실제 기록에서 관련 기록을 찾을 수있습니다.다만기재의 각도와 입장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대립모순성과관련하여실제로대립과 갈등의 조목은 어느 한 시기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시기마다대립이나갈등의 사건이 존재하며, 다만 1592~1598년 사이에 두 실록은 대립과갈등의정서가두드러지게 기록되어 있습니다.전체적인 화두를 보면 조공(朝貢)외교와시부외교외에도 요동(遼東)지역에 대한 묘사와 같은 전 시기의 다른 화두가존재하며, 요동(遼東)지역 관련 기록에는 종종 조공(朝貢)사건과 함께 요동(遼東)지역여진, 올량하(兀良哈)사건 등 다양한 분류가 포함됩니다.또한 두 나라 사이에예제에대한기록도 네 시기에 걸쳐서 나타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가장 중요한것은조공(朝貢)외교였습니다.이를 통해 양국 외교의 기본 입장과 태도는 주변국에대해서공동의입장을 취하면서 양국의 외교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협력했음을 확인할수있다. 양국의 빈번한 정치, 경제, 문화 등 많은 부문에서 동질감을 강화하는작용을했다. 이밖에도 《조선왕조실록》과 여러 사신들의 기록을 키워드로 비교 분석하면서한가지작은 성과라면 전자화 과정에서 나타난 일부 오류를 찾아냈다는 점이다. 이후관련연구에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조선왕조실록》, 《명실록》, 외교기록, 비교연구, LDA 모형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548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S](국제학대학원) > CHINESE STUDIES(중국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