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 0

지방자치단체의 문화도시 정책 사례 연구

Title
지방자치단체의 문화도시 정책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Local Self-Government Cultural City Policy : Focused on Seongsu-Dong, Seongdong-Gu, Seoul
Author
이진아
Alternative Author(s)
LEE JIN AH
Advisor(s)
한상우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BSTRACT A Case Study on Local Self-Government Cultural City Policy: Focused on Seongsu-Dong, Seongdong-Gu, Seoul JinAh, Lee Dept. of Local Autonomy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Hanyang Umiversity As the importance of cities gradually increases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cities intensifies, the importance of culture as a standard for urban competitiveness is increasingly emphasized. The research background is that many cities facing the decline of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es are promoting cultural cities as one of their development strategies. However, insuffici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whether it i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development as a cultural city with a unique identity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eongsu area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over the past 10 years while various local self-government policies have been promoted, and the cultural city policy is being promoted as a strategy for the next stage of urban development. We looked at Seongdong-gu policies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reation of a cultural city in the Seongsu area,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the cultural city policy currently being promoted, and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and limitations of cultural city promo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o create a sustainable cultural city. We want to come up with a plan. The research method followed a literature review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 a festival field surve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 plan for creating a sustainable cultural city was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depth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eople, including university professors, festival planning committee members, and employees of local cultural foundations.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view results, plans for creating a sustainable cultural city were broadly organized into five items. First, efforts are needed to maintai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 regional identity, and creative governance in which the private sector voluntarily participates should be strengthened in this process. Second, we must continue to promote the creation of cultural clusters and support policies for creative companies and creative human resources, and support them so that their diverse cultures can combine with each other and creative activities can fully unfold in the region. Third, due to the nature of the Seongsu area, which lacks idle space, active consult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is necessary to attract a large-scale performance hall that can accommodate local cultural demands in the unused site of the Sampyo ready-mixed concrete Seongsu factory, which completed relocation in 2023, and utilize weekends, etc.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oviding the road as a cultural space to residents and visitors, even temporarily, through road control. Fourth,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creative governance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Respect and mutual sympathy for the existing private planning committee are required, the festival vision must be sufficiently shared in preparation for changes in the group leader and members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employment stability of cultural foundation employees participating in the operation must be considered.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a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Sustainability must be secured through planning through creative ideas from the private sector, road control using government infrastructure, support for expansion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securing the basic budget for the festival. Lastly, these policies and regional development must continue efforts to ensure sustainability.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found that when local self-governments promote cultural city policies, creativity and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so that local residents can grow further through culture beyond simply enjoying and consuming culture and that this can lead to regional development. It was identified that policy efforts by local self-governments for this purpose are necessary. The second half of 2023, when this study was conducted, is a transition period when the cultural city project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changed to the Korean cultural city project, so the statutory cultural city part was inevitably excluded from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efore objective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 of the festival. This remained a limitation of the study. However, it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it secured vivid on-site experience by conducting field research on the festival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private experts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planning and event promotion close to the end of the festival.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is study was centered on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cultural city experts, we plan to leave objective evaluation of future festivals and verification through participant surveys and empirical research as quantitative research as future tasks. Keywords: cultural city. Creative city, creative governance|국문요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도시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며 도시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되는 가운데 도시경쟁력의 기준으로서 문화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연구 배경은 제조업 중심 산업의 쇠퇴기를 직면한 많은 도시들이 발전 전략의 하나로서 문화도시를 표방하고 있으나 지역의 특색을 잘 반영하여 고유의 정체성을 가진 문화도시로서 지역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10여 년 간 다양한 지방자치단체 정책이 추진되는 가운데 급격한 성장을 이루어왔고 그다음 단계 도시발전의 전략으로서 문화도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성수지역을 대상으로 문화도시 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성동구 정책, 지역 문화자원, 현재 추진 중인 문화도시 정책에 대하여 살펴보고 전문가 심층 면접을 통해 문화도시 추진 성공 요인과 한계점을 분석해 지속 가능한 문화도시 조성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조사, 축제 현장조사, 질적 연구방법을 따랐다. 질적연구 방법으로는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도시 조성방안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심층면접은 대학교수, 축제 기획위원, 지역문화재단 종사자 등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면접 결과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도시 조성방안을 크게 5개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지역의 특색을 유지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민간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창조적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문화 클러스터 조성과 창조기업 그리고 창조인력에 대한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이들의 다양한 문화가 서로 결합하며 지역에서 창조적 활동이 충분히 펼쳐지도록 지원해야한다. 셋째, 유휴공간이 부족한 성수지역의 특성상 2023년에 이전을 완료한 삼표레미콘 성수공장 유휴부지 등에 지역 문화 수요를 담을 수 있는 대규모 공연장을 유치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적극 협의가 필요하며 주말 등을 활용한 도로통제를 통해 일시적으로라도 주민과 방문객에게 도로를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제공하는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문화도시의 큰 축을 차지하는 도시형 문화창조산업축제 크리에이티브×성수의 발전을 위해 창조적 거버넌스의 유지와 강화가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민간 기획위원회에 대한 존중과 상호 공감이 필요하고 단체장과 관련 기관 구성원 등의 변경에 대비해 축제 비전을 충분히 공유하여야 하며 운영에 참여한 문화재단 직원의 고용안정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민과 관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민간의 창조적 아이디어를 통한 기획, 관의 인프라를 활용한 도로통제, 주민참여 확대를 지원하고 축제 기본 예산의 확보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책과 지역의 발전은 지속가능성이 담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지방자치단체가 문화도시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문화를 단순히 향유하고 소비하는 것을 넘어 지역민이 문화를 통해 더욱 성장하고 이것이 지역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창조와 문화가 함께 고려해야할 요소이며 이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가 이루어진 2023년 하반기는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문화도시 사업이 대한민국 문화도시 사업으로 변경되는 과도기로 부득이 법정문화도시 부분을 연구대상에서 제외한 점과 축제에 대한 객관적인 내외부 평가 이전에 분석을 실시한 점은 연구의 한계로 남았다. 다만 축제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기획과 행사 추진에 직접 참여한 민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축제 종료와 가까운 시기에 면접을 실시하여 생생하게 현장성을 확보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가 현장조사와 문화도시 전문가 인터뷰 중심으로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여 향후 축제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함께 양적연구로서 참여자에 대한 설문과 실증적 연구에 의한 검증은 추후 과제로 남겨놓고자 한다. 주제어 문화도시. 창조도시, 창조적 거버넌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902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1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LOCAL AUTONOMY(지방자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