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 0

현대무용 작품의 민족성 요소 표현 연구

Title
현대무용 작품의 민족성 요소 표현 연구
Other Titles
To study the expression of ethnic elements in contem dance works: Kim Bok-hee’s 「Life Flower Wind Flower 3rd Story Bride」 and Wang Mei's 「A Tree at Liberty」
Author
장린유
Alternative Author(s)
ZHANG LINYU
Advisor(s)
손관중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 각국의 예술 교류가 활발해지고 고유의 민족 문화 와 현대를 결합시키고 있다. 현대무용의 스토리 구조는 오늘날까지 백 년 가까이 발전해왔으며 발전과정에서 여러 국가의 민족 풍습과 민족 스타일이 융합되었다. 작품의 민족성 특성을 형성하기 위해 안무가는 민족 전통문화 예술과 현대 예술을 융합시켰다. 현대무용 작품을 통해 안무가의 독특한 민족성 정서를 전달하여 이로써 다양한 민족 문화와 세계 민족 문화를 상호 융합시켰다. 본문은 한국의 대표 안무가 김복희와 중국 대표 안무가인 왕메이의 무용 작품을 예로 든다. 민족성 요소의 관점에서 음악, 의상과 움직임을 분석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서양 문화의 융합으로 두 무용가는 서양 문화를 참고하는 동시에 두 문화, 환경, 사고방식 간의 거리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둘째, 민족문화의 활용을 통해 자국의 우수한 민족문화를 현대무용작품에 융합시키고 다양한 융합과 재창조의 정신을 융합시켜 새로운 현대무용표현을 창조한다.   본 연구는 한중 두 현대무용 작품에 나타난 민족성 요소를 중심으로 민족성의 개념, 한국과 중국의 무용 문화 특징, 그리고 현대무용에서 민족성 요소의 구체적인 응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러나 민족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김복희와 왕메이 두 안무가의 작품에서 민족성 요소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 무용작품 속의 민족성에 대해 더욱 깊이 있고 전면적인 연구를 진행하기를 희망한다. 미래의 우수한 예술가들이 동서양의 무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후손들에게 더욱 많은 후속연구의 길을 열어주고 더욱 선진적인 무용작품을 제작하여 현대무용의 발전과 글로벌화에 초석을 마련해주기를 희망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219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0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