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채윤미-
dc.contributor.author하흔-
dc.date.accessioned2024-03-01T07:58:14Z-
dc.date.available2024-03-01T07:58:14Z-
dc.date.issued2024.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018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0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현지에서 출판된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의 유형과 기능을 대조 분석함으로써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대화가 원활하게 진행되려면 화자와 청자 모두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해야 한다. 기존의 연구들을 보면 청자보다 화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화자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런데 사실 청자는 대화 과정에서 화자가 못지않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청자반응에 대한 연구도 매우 필요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논의하였다. 먼저 대화의 개념과 구조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 중에서 청자의 역할을 밝혔다. 제2절은 기존 연구에서 정의한 청자반응 표현의 개념 및 유형과 기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청자반응 표현의 유형과 기능을 분류하여 체계화하였다. 3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대상과 연구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청자반응 표현의 유형과 기능별의 구체적인 예시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먼저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청자반응 표현의 유형과 기능은 어떠한 빈도와 비율로 나타나는지 분석하였고, 각 기능의 구체적인 실현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와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에 대해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의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의 빈도와 비율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의 빈도와 비율을 비교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의 평균 횟수를 보면 큰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둘째,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 중의 선도형과 선도형의 각 기능이 모두 나타나지 않는다. 셋째,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 4권 간의 대화문 당 청자반응 표현은 나타난 평균 횟수가 고르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는 반면에 중국에서 출판된 4권 한국어 교재 간의 대화문 당 청자반응 표현은 나타난 평균 횟수는 1.857번부터 3.556회까지 큰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넷째,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나는 청자반응 표현의 유형과 각 기능의 종류가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의 각 기능의 실현 양상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의 각 기능의 실현 양상에 대해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경청 표현 기능의 실현 양상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되묻기 확인 기능의 실현 양상은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보다는 훨씬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동의 표현 기능의 실현 양상이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보다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 느낌 표현 기능의 실현 양상이 모두 네 가지가 있다. 다섯째,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감탄 표현 기능의 실현 양상이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보다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정보 요청 기능의 실현 양상이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보다는 두 가지 더 많다. 일곱째, 화자 자극 기능은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 모두 농담이라는 실현 양상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화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화자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은 청자에 초점을 맞춰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에 대한 분석 결과의 비교를 근거로 문제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앞으로 한국어 교재 중의 대화문 작성 및 청자반응 표현에 관한 학습에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청자반응 표현 분석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Listener Response Expressions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Focusing on Comparison of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하흔-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E XI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러닝사이언스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LEARNING SCIENCE(러닝사이언스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