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적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응집성 연구 | 황원 |
2023 | 장르 중심 접근 이론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의 쓰기 과제 분석 연구 | 탕가미 |
2023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증 표현 어휘 선정 연구 | 막탁예 |
2023 | 문제중심학습(PBL)기반 한국어 말하기 교육 모형 연구 | 고월 |
2023 | 가상현실(VR)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환성 |
202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발화수정 연구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의 비교를 통해서- | 허향 |
202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금지 화행 교육 연구 | 진몽정 |
2023 | 2015개정 초등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난 수직선 활용 양상 분석 -자연수, 분수, 소수 단원의 수 감각을 중심으로- | 정은선 |
2023 | 금지화행 공손 전략에 대한 한중 대조연구 | 정람승 |
2023 | 이주배경 중국동포 학생과의 비판적 문식성 수업 : 질적 사례연구 | 임세희 |
2022 |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정책의 현황과 과제 | 최예림 |
2022 | 중국 흑룡강성 중학생의 자기통제,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학업정서의 조절된 매개효과 | 하우맹 |
2022 | 참여적 학교풍토와 교사의 효능감 간의 관계: | 김언기 |
2022 | 데이터 시각화 디자인 요소에 따른 수용자의 ‘정보인지, 가치, 태도’ 차이 분석 | 김정현 |
2022 |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고’의 오류 분석 연구 -학습자 말뭉치를 대상으로 | 당시운 |
2022 | 한국문화교육 자료로서의 「홍길동전」 연구 | 강이문 |
202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사회 호칭어 교육 연구 | 나령령 |
2022 | 중국 유학생들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김명희 |
2022 | 이육사와 문일다 시에 나타난 주제와 이미지 연구 | 사옥팅 |
2021 | 한‧중 현대 성장소설 비교 연구 | 왕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