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0

온라인 쇼핑과 소매입지의 상호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온라인 쇼핑과 소매입지의 상호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utual Influence of E-commerce and Retail Location : Differences by Spatial Hierarchy and Retail Type in Seoul
Author
윤윤채
Alternative Author(s)
Yoonchae Yoon
Advisor(s)
박진아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an affect the land use and spatial structure of cities, and e-commerce is closely related to retail location. In this regar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mmerce and retail location has been conducted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group of studies reports that the retail location influence the use of e-commerce, while the second group of studies argues that e-commerce influences the retail location. Thus,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commerce may be interrelated. Although their connection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spatial changes in citie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few empirical studies have linked the two aspects to dat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mmerce and retail loc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at the urban spatial scale. The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we observe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hanges in e-commerce and retail location; second, we examined whether retail location affects the use of e-commerce. Third, we analyzed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retail location and online shopping, and finally, we examined the impact of e-commerce on retail loca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how urban spat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 to e-commerce use and found that retail density and urbanization levels do not affect e-commerce use. Previous studies have explained spatial influences on e-commerce use through two competing hypotheses: the innovation hypothesis and the efficiency hypothesis, but our results show that retail dens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e-commerce use. In doing so, we also anticipate the possibility that low retail density may not increase e-commerce use but that an increase in e-commerce may decrease retail density. Therefore, we used panel Granger causality tests to analyze the dynamic causality between retail density and e-commerce. The results show that online shopping has a Granger causality relationship with the decrease in retail density, but retail density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ange in e-commerce.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impact of e-commerce on retail density. The results show that e-commerce is reducing retail density. We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e-commerce on retail density is differentiated by the neighborhood's urbanization level. While many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at e-commerce will enhance the development of high-hierarchy centers and decline the development of low-hierarchy center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show that there is no effect of e-commerce in high and low-density centers, but rather a retail decline (displacement) due to e-commerce in medium density centers. We also find that the impact of online shopping is differentiated by retail industry and type of business, such as chain stores. E-commerce reduces non-chain mass merchandisers and non-chain experience goods retailers in medium-density neighborhood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e-commerce can be considered an essential variable for transportation and retail planning beyond shopping convenience. Second, e-commerce can have a negative impact not only on retail density but also on local sustainability and place. Third, the impact of e-commerce is best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arization of retail functions rather than polarization of retail structures. Fourth, e-commerce has the potential to homogenize and polarize retail landscapes, and policies and plans need to be developed to respond to the landscape changes caused by e-commerce. Finally, there is a need for a shift in the planning paradigm and integrated commercial planning that can comprehensively accommodate cities' density, demographic, and commercial characteristics. Keyword: E-commerce, Retail Location, Spatial Hierarchy, Mutual Influence, Panel Analysis|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도시의 토지이용이나 공간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온라인 쇼핑은 소매 입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온라인 쇼핑과 소매 입지와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측면의 연구들은 도시의 소매 입지가 온라인 쇼핑의 이용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며, 두 번째 측면의 연구들은 온라인 쇼핑이 소매 입지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따라서 도시의 소매 입지와 온라인 쇼핑은 상호 영향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두 관점의 연결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도시의 공간 변화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임에도 현재까지 이를 연결한 실증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과 소매 입지의 영향 관계를 도시 공간 단위에서 통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온라인 쇼핑과 소매 입지의 공간적 분포와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둘째, 소매 입지가 온라인 쇼핑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셋째, 소매 입지와 온라인 쇼핑 간 상호 인과관계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온라인 쇼핑이 소매 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의 공간적 특성과 인구사회 특성이 온라인 쇼핑의 이용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수의 선행 연구는 온라인 쇼핑 이용에 있어 도시 공간 특성이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두 경쟁 가설인 혁신 가설과 효율성 가설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연구 결과 기존 연구의 주요 논의와는 달리, 도시의 공간적 특성은 온라인 쇼핑의 이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선행 연구 결과와의 불일치 원인으로써 낮은 소매 밀도가 온라인 쇼핑 이용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닌, 온라인 쇼핑의 증가가 소매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예상해볼 수 있었다. 이에, 패널 그랜저 인과 검정을 활용하여 소매 밀도와 온라인 쇼핑 간 동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쇼핑은 소매 밀도 감소와 그랜저 인과 관계가 나타났으나, 소매 밀도는 온라인 쇼핑의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함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쇼핑이 소매 밀도에 미치는 구체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쇼핑은 소매 밀도를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소매 밀도에 대한 온라인 쇼핑의 영향은 지역의 도시화 수준에 따라 차별적임을 확인하였다.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온라인 쇼핑이 고차 중심지는 더욱 발전시키는 반면, 저차 중심지는 쇠퇴시킬 것이라 주장하였으나, 본 실증 연구의 결과 고차 및 저차 중심지는 온라인 쇼핑의 영향이 존재하지 않는 반면, 중차 중심지에서 온라인 쇼핑으로 인한 소매 밀도 감소(대체)가 나타남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온라인 쇼핑의 영향이 소매 업종이나 체인점 여부와 같은 운영 형태에 따라 차별적임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 쇼핑은 중차 중심지의 비체인 대형 종합소매업과 비체인 경험재 소매업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온라인 쇼핑은 쇼핑 편의성을 넘어 교통 및 소매 계획의 중요한 변수로 간주될 수 있다. 둘째, 온라인 쇼핑은 소매 밀도뿐만 아니라 지역의 지속가능성과 장소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온라인 쇼핑의 영향은 소매 구조의 양극화보다는 소매 기능의 양극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하다. 넷째, 온라인 쇼핑은 소매 경관의 동질화와 양극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온라인 쇼핑으로 인한 경관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 및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도시화 수준과 인구사회 특성, 그리고 상업 특성을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계획 패러다임의 전환 및 통합적인 상업 계획이 필요하다. 주제어: 온라인 쇼핑, 소매 입지, 상업 위계, 상호 영향관계, 패널 분석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11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97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