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 0

「청강시화(淸江詩話)」를 통해 본 이제신(李濟臣)의 시의식(詩意識)

Title
「청강시화(淸江詩話)」를 통해 본 이제신(李濟臣)의 시의식(詩意識)
Other Titles
Lee Je-sin’s poetic consciousness in 'Cheonggang sihwa'
Author
ZHAOZIXING
Alternative Author(s)
ZHAO ZIXING
Advisor(s)
이승수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청강시화」에 대한 전방위적 고찰을 통해 비교적 완전한 「청강시화」를 구축함과 동시에 이제신의 한시 비평 의식을 밝히고자 했다. 「청강시화」는 조선 전기의 시화로서 오랫동안 야사 총서에 수록되어 있다가 조선 후기에 들어서야 『시화총림』을 통해 한시 비평의 분야로 들어왔다. 「청강시화」는 높은 기록성과 사실성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시화의 시 비평적 성격을 두루 갖추고 있는 작품이다. 처음에는 야사총서들에 먼저 수록되며 필기적 성격이 부각되었으나, 이후 시화집들은 이 작품의 시 비평 의식에 점차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청강시화」에 드러난 이제신의 시관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한시는 “기”를 통해 시인과 작품을 연결한다. 청강이 말하는 '기'란 시인이 타고나거나 후천적으로 형성한 기질, 또는 시를 창작할 때 드러난 풍격 등을 의미한다. 매우 광범위한 개념으로 시와 시인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기상론과 가까운 동태적 한시 비평이론의 한 양상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청강시화」의 기상론은 "지인론시"와 "지시식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청강이 가진 천명론적 미적 감각을 보여준다. 둘째, 풍자시는 높은 함축성을 지니며 정치 비평의 기능을 갖고 있다. 「청강시화」에 실린 대부분의 풍자시는 매우 복잡한 고사와 맥락을 요구하면서도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이는 「청강시화」의 풍자시들이 매우 높은 함축성에 대한 요구를 지니고 있단 것을 보여준다. 또한 풍자의 정치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청강의 정치 인식을 보여주며, 전통적 미적 관념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대우를 중시하며 한시 창작 기법의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상당량의 대우 기법에 대한 모색을 작품 내에 시도하였으며 이는 전통적 대우만에 그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규격화된 율시 창작을 벗어나 혁신을 추구하고, 고유한 형식 속에 얽매이지 않아야 한다는 시관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청강시화」에 속한 67 조목은 단순히 배치 나열된 것이 아니라 청강의 시 비평 의식에 따라 지어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강시화」는 한시 창작과 감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과 타당성을 제공하는 한시 비평 저서라고 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78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8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