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동섭-
dc.contributor.author홍지영-
dc.date.accessioned2024-03-01T07:43:50Z-
dc.date.available2024-03-01T07:43:50Z-
dc.date.issued2024.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468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525-
dc.description.abstract기존 특정 집단의 전시물이었던 박물관은 현대에 들어서 대중들에게 개방되었다. 그 와 동시에 단순 전시의 기능과 더불어 교육 프로그램, 체험 프로그램과 같은 여러 기능 이 더해지고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현대에는 대중 친화적인 공간이 되겠다는 박물 관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박물관과 관람객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해졌고, 이에 관련자들은 박물관의 PR 홍보의 필요성을 대두하고 연구하였다. 초기 박물관 의 PR홍보는 전통적인 방식인 인쇄 매체를 주로 이용하였고 이후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터넷으로 매체가 바뀌었으며, 현재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소셜미디어’ 형태가 큰 비 중을 차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의 PR 홍보는 적은 예산으로도 홍보 콘텐츠를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공중들에게 전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같은 장점은 사기업의 자금 운영 방식과 다르게 정부의 예산이나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자금으로 운영되는 박물관의 한 정적인 PR 예산의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박물관이 소셜미디어(SNS)를 어떻게 활용하여 수행하면 효과적 일지’ 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어 각 지역박물관의 소셜미디어 PR 현황을 살피고 더 나은 흐름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식으로는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지역박물관 중 3곳 (국립경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을 대표로 뽑아 각 소셜미디어 의 콘텐츠들을 수집하였으며 소셜미디어의 매체 중에서도 사용률이 가장 높은 인스타그램의 콘텐츠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소셜미디어의 홍보 전략을 올바르게 세우기 위해서 ‘SWOT’ 분석을 통해 지역 박물관의 강점, 약점, 위협, 기회 요인을 살피었고 각 지역박물관의 사례 조사 방법을 통해 나온 분석 결과와 패턴으로 약점과 위협의 요인을 보완하기 위한 소셜미디어 홍보전략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제어: 지역박물관, 소셜미디어, PR 전략, SWOT 분석, 질적사례연구-
dc.publisher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dc.title지역박물관의 소셜 미디어 PR 현황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Social Media PR Status for Local Museum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홍지영-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언론정보대학원-
dc.sector.department사회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전략커뮤니케이션-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