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 0

중장년 성인의 죽음 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연령주의의 조절효과

Title
중장년 성인의 죽음 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연령주의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 Aged Adults: The Moderation Effect of Ageism
Author
이유신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 Aged Adults: The Moderation Effect of Ageism Lee, Yu Shin Dep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This research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ge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dea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Koreans aged 35 to 64.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comprising measures of attitudes toward death, psychological well-being, ageism, and demographic variables. Data from 325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Firstly, examining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it was found that the mean of neutral acceptance in death attitude was high, while the standard deviation for fear of death was also high. This suggests that many middle-aged individuals hold a neutral acceptance death attitude as a part of like, but their perceptions of fear of death vary. Additionally, when validating attitudes toward death based on participants’ gender and age, it was observed that woman exhibited higher levels of fear of death than men, and those in their 30s showed higher levels of fear of death compared to those in their 60s. Secondly, when examining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average monthly inc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Middle-aged individuals with monthly incomes below 1 million won, between 2~3 million won, and between 3~4 million won showed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those with incomes above 5 million won. This suggests that while an increase in income may not necessarily be direct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individuals, economic status can be a contributing factor to one’s psychological well-being, indicating the need for economic support and job creation for low-income and middle-income middle-aged individuals in Korea. Thirdly, regarding living arrangements, middle-aged individuals living alone showed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families consisting of men, women, or children in a nuclear family setting. This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and policy development for individuals living alone who may face emotional difficulties. Fourt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key variables, death attitud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geism. Attitudes like escape acceptance, fear of deat, death avoida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approach acceptance and neutral accepta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Moreover,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age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dicating that higher tendencies of ageism mong middle-aged individuals lead to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it was found that ageism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hen fear of death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Therefore, considering that ageism exacerbates the detrimental impact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ear of death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proposed interventions involving counseling and programs aimed at improv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hese interventions aim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threat of ageism and address age-related biases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Key words: death attitude, fear of death, ageism, psychological well-being, moderating effect.|국 문 요 지 본 연구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연령주의(Ageism)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35세~64세 중장년 한국인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연령주의 척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 구성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325명의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본 결과, 죽음의 태도 중 중립적 수용의 평균이 높았으며, 죽음공포의 표준편차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많은 중장년층은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수용하는 중립적 수용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들에게 다른 죽음에 대한 태도와는 달리 죽음공포에 대한 인식은 다양했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성별, 연령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를 검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죽음공포 수준이 높았으며, 30대가 60대보다 죽음공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평균 소득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을 살펴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월평균 100만원 미만, 200~300만원 미만, 300~400만원미만 중장년층의 심리적 안녕감이 월평균 500만원 이상 중장년층보다 낮은 심리적 안녕감을 보였다. 이는 소득수준의 증가가 중장년층의 심리적 안녕과 반드시 연관이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경제 수준이 하나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한국 저소득층 중장년층을 위한 경제적인 지원 및 일자리 창출 등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거주 형태를 살펴보았을 때 1인 가구 중장년층이 남, 여,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 형태의 가족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1인 가구를 위한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 및 정책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넷째, 주요변인인 죽음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연령주의 변인 모두 상호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죽음에 대한 태도 중 탈출적 수용, 죽음공포, 그리고 죽음 회피는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접근 수용과 중립적 수용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연령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적 상황이 나타났다. 이는 중장년층의 연령주의 경향이 높을수록 낮은 심리적 안녕을 보인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중 죽음공포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연령주의(Ageism)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장년의 죽음공포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부적 영향에 대해 연령주의가 더욱 악화시키므로, 본 연구는 연령주의에 대한 위협을 인지하고 노인 및 노년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개선에 대한 상담 및 프로그램의 개입을 제안하였다. 주요용어: 죽음태도, 죽음공포, 연령주의(Ageism), 심리적 안녕감, 조절효과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778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5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S](상담심리대학원) > HUMANITIES & SOCIAL SCIENCE(인문사회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